-
-
얘들아, 우리 관찰하며 놀자! - 생명과학자 김성호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한 사계절 생태 체험
김성호 지음 / 지성사 / 2020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닷가 마을로 이사오고나서 아이들이 많이 변했어요. 키즈카페에 가고싶어하던 아이들이 주말이면 비가오나 않오나를 확인해요. "빨리 바닷가로 가요! " 하는 딸들과 "모래놀이 하러 가자 바다바다" 하는 막둥이까지. 아이들은 자연을 참 좋아해요. 자연에서는 한시간이고 두시간이고 노는 아이들. 아이들과 함께 자연을 관찰하면서 도움이 될만한 책이 없을까? 생각하다가 만나게 된책 소개해드릴께요.
얘들아, 우리 관찰하며 놀자!
김성호/지성사

초록 잎사귀를 그리고 있는 아이의 모습이 눈에 들어와요. 아이들이 바위에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요.
생명과학자 김성호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한 사계절 생태탐험
김성호 선생님책은 처음보데 아이들이 함께한 이야기라니 무척 궁금했어요.
지은이 김성호는 식물생리학 을 전공했지만 유난히 새를 좋아해서 '새아빠'라는 별명이 생겼다고해요. 서남대 생물학과 교수를 하다가 퇴직후 오롯이 생태 작가의 길을 걷고있어요.
자연이 멀리 있지 않습니다. 마음이 멀뿐입니다.
아직 생명이 얼마나 아름답고 소중한 것인지 느낄 기회가 없었던 친구들에게 이책을 바칩니다.
여는글에서 발견한 글귀에요. 자연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이글귀 하나만 봐도 알거같았어요.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아이들과 함께 자연에 깃들인 생명을 관찰 한 일년의 이야기로 4월부터 2월까지 관찰이란? 들꽃, 물속의 생물, 열매와 버섯, 새의 세상, 흔적으로 만나는 생명 으로 1장부터 9장으로 되있어요.
1장은 첫만남, 관찰이란?
관찰은 자세히 보는것이며 '관찰은 결국 누군가를 사랑하는것 '
기록하지 않은 모든것은 지워진다
직접 보았어도 다 본 것이 아닐수 있으며, 직접 들었어도 그것이 처음부터 끝까지 들은 것이 아닐 수 있다
기록의 중요성과 오류를 조심하고 겸손한 자세를 갖자. 첫째 시간에 선생님이 자연관찰에 대해서 강조하신 부분이에요.
글은 술술 읽혔어요. 자연을 사랑하분이어서 그런지 생생하게 묘사하는 자연에 대한 이야기 나무에 대한 이야기가 눈을 즐겁게 해주었어요. 나무마다 몽글몽글한 연록의 잎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이 상큼하며 예쁩니다. 처럼 자연에 대한 생생하고 자연을 사랑하는 모습을 곳곳에서 느낄수 있었어요. 아이들을 만나러 가는 길목에서 만난 나무한그루 꽃하나까지 묘사한 글덕분에 선생님과 함께 자연관찰을 다니는 기분이었어요.

들꽃에 대해 아이들이 관찰하고 그림으로 그린것들이에요. 아이들의 그림과 글 생각을 보는 재미가 더해져서 글을 읽는 재미가 좋았어요. 아이들이 처음 그리고 생각한것을 담은 그림을 보니 점점 선생님과 자연을 관찰하면서 자연을 만나면서 성장하는 모습이 눈에 보였어요.
36쪽, 우리 친구들에게 들꽃의 이름을 알려주지 않아요.
쉽게 안 것, 그 속도로 잊힐 테니까요.
마음에 울림을 주는 한구절이었어요. 쉽게 안 것은 그속도로 잊힌다. 너무나 많은 정보를 지식을 우리 아이들의 머릿속에 넣고 있는것이 아닌가? 그래서 쉽게 잊혀지는 것인가? 라는 생각을 해봤어요.

물속에 사는 생물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각자 준비물을 챙기게 하고 그책임을 자기가 감당하게 하세요. 준비물이 없으면 다다다 달려가서 아이손에 쥐어주는 저의 모습과 반대되는 모습에 다시한번 선생님의 교육관을 엿볼 수 있었어요.
아이에게 자기의 책임을 지어주는것 아이가 감당할것은 부모가 대신 해주지 않는것 생각해봤어요.

꽃을 관찰했던 그곳으로 다시가서 열매를 관찰해요. 아이들은 한층더 성장해 있었고요.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서도 아이들은 비옷을 입고 열심히 관찰하고 생각했어요. 책을 읽으면서 선생님과 함께 생각하고 관찰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멋지고 기특하고 부러웠어요. 아이들은 모둠을 이루어서 함께 생각을 모으고 발표하는 것을 배워나가고 있었어요.

새의 세상
<영재발군단> 에서 만난 재우의 이야기가 나와요. 재우가 선생님을 만나고 기뻐서 펑펑울었고, 아이가 힘들어하니 방송분량이 채워졌으면 아이는 이제 쉬게 집에 돌려보내라는 선생님의 이야기에 아이를 향한 마음씀씀이가 느껴지는 대목이었어요.
새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영재를 보면서 선생님은 생각해요.
116쪽, 영재가 새만 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관찰은 결국 무엇 하나를 보는 거지만 지금부터 하나만 보면 결국 그 하나를 나중에는 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나라도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이기를 바랄뿐입니다.
책에서도 강조하는 것이 관찰을 할때 전체를 봐라봐야 한다고 이야기해요. 물고기를 볼때도 개체수가 많은것은 어떤것이고 왜그런지 전체를 조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세요. 하나만 보지 않고 전체를 아우르는것 관찰에 꼭 필요해요.

이번주말 아이와 동네 바닷가에 가서 놀았어요. 바닷가에서 몇주 놀던 아이는 처음에는 모래놀이만 하더니 이제는 스스로 날라다니는 비둘기를 따라다니면서 비둘기를 관찰해요.

누나들은 바닷가에서 모래놀이를 하다가 땅에 철부덕 앉아서 모래구멍 사이를 파서 잡은 게를 한참이나 관찰하고 있어요. 아이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연을 좋아하고 자연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을 관찰하고 있어요. 저도 아이옆에 앉아서 아이가 잡은 게를 함께 관찰했어요.
김성호 선생님 처럼은 못하지만 이제 아이들과 함께 꽃도 관찰하고 바다물도 관찰하고, 조그만 게도 관찰해야겠어요.
마지막으로 글을 마치며에서 발견한 한구절을 이야기할게요.
-내가 진정 친구들에게 전하고자 했던 마음 -
언젠가는 우리 친구들 가슴에서 빛나는 별을 만나게 될거야. 그래서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깨닫는것, 딱 그마음 하나였단다. 얘들아 사랑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