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 알고리즘 : 스크래치 3.0 -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는
장수정 외 지음 / 생능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크래치알고리즘
#알고리즘이란
#초등코딩교육
​코딩 ,컴퓨터 알고리즘 요즘 번번히 듣는 이야기다. 점점 우리 아이들이 사는 세계는 컴퓨터를 등한시 하고는 살지 못하는 세계가 다가오는것같다. 하지만 부모인 나도 컴퓨터에 대해서는 잘 알지를 못한다. 알지 못하고 어떻게 아이들을 가르칠수 있을것인가? 하는 마음에 개념이라도 알아보자하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컴포터 과학 알고리즘 스크래치 3.0이란 책을 보게되었다.

 


우선 컴퓨터도 알겠고 과학도 알겠는대 알고리즘이 과연뭘까? 하는 생각에 알고리즘을 검색해보았습니다.


알고리즘이란 아랍의 수학자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나 단계의 집합을 의미한다.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단계를 세우고, 이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알고니즘이라고 한다. 
알고리즘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았으니 이제 책속으로 들어가보자. 

무슨책이든 머릿말은 책의 이정표이다 . 그래서 머릿말은 빼놓지 않고 읽는다 이책을 어떻게 읽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머릿말 아주중요하다.

머릿말에서 이책의 가장큰 특징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컴퓨터적인 어려운 용어를  최대한 줄여 쉽게 알고리즘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알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겼다. 
1강에서는 나같이 알고리즘이 대체 뭐야? 하는 사람을 위해서 개념을 설명해준다.


먼저 개념을 설명한다.

어떤 결과를 얻기위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알고리즘의 중요성
알고리즘을 작성해두면 어떤 문제(오류) 가생겼을때 문제점을 찾기가 수월해진다.

그리고 어떤 일을 하기전에 할 일을 먼저 종이에 적어보고 그순서를 정한다면 시간과 노동력은 적게 들면서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있다. 이부분을 읽으면서 우리가 흔히 하는 시간관리도 이 알고니즘에 들어가는것 같다고 생각을 하였다.
알고리즘은 어려운 용어일뿐 이미 우리 생활속에 깊이들어온 문제 해결법인거 같다는 생각도 해보았다.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글로표현하기, 기호로 표현하기가 있다.

글로표현하는 방법은 시간의 순서대로 글로쓴것이고

기호로 표현하는 것은 우리가 알고있는 순서도를 이용해서 표현한다.
순서도는 플로챠트 라고 도 한다.
흐름과 그림의 의미로 그림으로 표현한 흐름도 이다.

두번째로는 학습하기이다.
순서도 기호 이해하기
순서도의 3가지 구조
그리고 순서도와 코딩이해하기 이다.

이책은 블록코딩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코딩은 청소년들이 코딩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스크래치 블록코딩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는 내용이 구성되어있다. 

일종의 실습이라고 할수있다.

책은 먼저 개념을 알려주고 그 개념에 대한 실습을 할 수있게 구성되어있다.
이것이 이책의 좋은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실습부분은 알고니즘을 처음 접하는 나에게는 어려웠다. 하지만 이책에서 내가 가장 유심히 보고 이해가 제일 잘됬던 부분은 개념에 대한 부분이었다. 각각 개념이해하기 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있을만한 우리 실생활에 가까운 예를 들어주면서 쉽게 설명해 주어서 인거같다. 이책을 보면서 미쳐 몰랐던 것을 많이 알게 되었다.

순차란 어떤 결과를 얻기위해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실행 한다는 것을 순차라고 한다.
쉬운예로 라면을 끓이는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라면을 끓일때 순서대로 넣어야지 맛있고 꼬들한 라면을 먹을수있다.아니면 익지않거나 너무익어서 맛이없는 라면이 될것이다. 라면끓이기의 순서가 중요하듯 이렇게 순서가 중요하다는 부분을 읽으니 절로 이해가 되었다.

반복 은 어떤 조건이 만족할 떄까지 또는 종료조건이 성립 될때까지 계속해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컴퓨터는 반복이라는 기능을 사용해서 주어진 연산을 인간이 할 수 없을 만큼 실수 없이 반복 할 수있다. 
이런 반복 기능은 컴퓨터의 신속성과 자동성 활용 측면에서 효율성을 높여준다. 


아직은 아이들이 어려서 개념부분만 읽고 이해할 수있었다. 하지만 이이들이 크면 함께 실습도 해보고 더 깊이있게 공부하면 아이들과 나에게 정말 좋은 컴퓨터과학 알고니즘 교재가 될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