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 - 상처만 주는 가짜 자존감 나를 지키는 진짜 자존감
전미경 지음 / 지와인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늘 제가 읽은 책을 소개시켜 드릴께요

바로 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 라는 책이에요

 

행복이 뭔지 왜 느끼지 못할까

무엇이 가짜 자존감이고 , 무엇이 진짜 자존감 일까

자기다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자존감을 이루는 네가지 요소는 무엇일까

 

전미경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친절하게 이야기해주는 네가지 레슨 들을 준비 되셨나요?

심리학 의론과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들려줘요 천천히 읽으면서 곱씹을 문장도 많았고 마음에 와닿는 문장도 많았어요 여기서는 제가 마음에 와닿은 문장을 소개해 드릴께요

네가지 자존감에 대한 레슨 함께 보실래요?

목차를 살펴봐요

Lesson 1. 이게 자존감인 줄 알았습니다

공허해요, 차라리 아픈 게 나아요

자존감이 낮은 진짜 이유

나는 어떻게 타고난 사람일까

자존감에 대한 여섯 가지 함정

Lesson 2. 나를 흔드는 가짜 자존감, 나를 지키는 진짜 자존감

남들 앞에 자신감 넘치고 싶어요 : 자만심 vs 자기 가치

어떤 실패도 하고 싶지 않아요 : 부정 경험화 vs 긍정 경험화

전 더 칭찬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해요 : 인정받기 vs 기뻐하기

당한 만큼 갚아주고 싶어요 : 공격성 vs 자율성

결국 나만 잘 살면 되는 거 아닌가요 : 의존의 관계 vs 분리의 관계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싶어요 : 과거지향성 vs 현재지향성

Lesson 3. 나만의 시그니처 만들기

진짜 자존감은 어른이 되면서 시작된다

진정한 나를 찾고 있다면

당신의 시그니처는 무엇인가

나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여기에 있어, 할 수 있어’라는 마음에서 시작하기

Lseeon 4. 진짜 자존감의 네 가지 요소

나는 생각한다, 그리하여 존재한다 : 지성

나쁜 감정을 접고 접어서 작게 만드는 능력 : 긍정 정서

남에게 휘둘리지 않는 나의 윤리 : 도덕성

힘든 날에도 눈뜰 수 있어요 : 자기조절력

Lseeon 5. 나라는 사람을 무엇으로 채울까

자존감을 채우는 5단계 익히기

“이유 없이 좋아” 감정의 긍정적 콘텐츠 채우기

“내 옆에도 이런 사람이” 멘토로부터 콘텐츠 채우기

“그건 가짜잖아” 합리적 정보의 콘텐츠 채우기

“이건 뭔가 느껴져” 직관을 발달시키기

“그냥 해” 실행하는 능력 키우기

Lseeon 6. 어른의 자존감으로

나를 머무르게 하는 두 가지, 과거와 남

내 역사를 내가 쓸 수 있는가

사람을 이유 없이 두려워하지 않기

객관과 존중, 자존감의 두 개 거울

상처를 준사람과의 '심리적 분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요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현재를 살고,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과거를 산다는 말을 어느 강의에서 들었어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과거에서 있었던일, 과거에 나에게 상처를 준 사람과 나를 분리를 못한대요 그래서 그 부정적인 감정에 몰두하게 되서 자신이 받은 상처를 과장하여 인지하게 되는 인지적 오류가 일어나기도 한대요 저도 가끔 과거에 사로잡힐때가 있어요 책에서 말한것 처럼 상처받은 과거 이지요 이제는 과거의 몰두에서 벗어나 좀더 과거를 객관화 해서 바라보고 과거의 나를 객관화 해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한거 같아요

그런대 아이들에게 너무 괜찮다를 남발해서 키우면 나중에 사회에 나가서 자신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타인을 만나게 되면 그것을 객관화 해서 보는것이 아니라 그 부정적인 감정에만 몰두하게 된서 상처를 받고 상처에만 몰두하게 된대요

아이를 키우면서 다 괜찮아가 아니라 부정적인 상황에서 그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줘야 할거같아요

사심없는 관계라는 개념이 나와요 보상과 평가가 개입하지 않는 선의의 경험이래요

사실 부모와의 어린시절에 이런 사심없는 선의의 관계를 경험해야 한대요

이글을 읽으면서 내가 내아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잘할때만 칭찬해주고 이뻐해준 그런 사심있는 관계가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을 했어요

자기 의지로 대인관계를 맺고 긍정적으로 관계를 하게 되면 가족같이 주어진 관계, 직장 상사와 부하처럼 강제된 관계에서도 자기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대요

책을 읽다가 많이 공감이 간 페이지가 바로 여기에요 독서의 이유에 대해서 나와요

나이가 들수록 경험의 깊이에 대한 갈증이 커집니다 독서는 간접경험을 통해 깊이를 채워주는 일입니다 인생을 직접경험 만으로 채우는 이들은 점점더 객관성을 잃게 됩니다

아이들이 자고나서 독서를 하면 왠지 모르게 갈증나던 것이 해소되는 느낌이 났었는대 그것이 이것때문이었던거 같아요

79p

자존감은 기준이 자기 내부이고 , 인정과 칭찬은 기준이 자신의 외부에 있대요 때문에

인정과 칭찬에 중독되면 가짜자존감이 된대요 때문에 좋은 부모는 칭찬과 인정을 아이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쓰지 않는대요 그리고 좋은 부모는 자녀의 성장기에 맞추어 스스로 결정할 수있는 일의 범위를 넓혀 간대요 그래야 아이의 자존감이 커진대요

[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를 읽으면서 진짜 자존감이 무엇인지 왜 아이와 사심없는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아이의 자존감이 커지고 나의 자존감이 커지는지 나만의

시그니처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나라는 사람을 무엇으로 채워야하는지 어른의 자존감으로

살아가기 위해 무었이 필요한지에 대한 친절한 이야기를 들었어요

나의 자존감에 대해서 생각해볼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를 읽으며 함께 자존감을 찾는 여행을 떠나보는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