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 산업혁명은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 세계 최고 10대 이공계 대학 탐사 프로젝트
설성인 지음 / 다산4.0 / 2017년 5월
평점 :

나는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다. 고등학교 당시 수학이 좋아서 이과를 가고, 주위에 자연계(수학, 과학)로 진학한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지난 대통령 선거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은 꽤 핫한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사실 다른나라에 비해 많이 늦은 붐이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과학 기술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 자체가 내겐 너무 흥미롭고 기쁜 일이었다.
우리나라는 유독 과학기술에 관심이 없는 편이다. 'IT강국'이라는 수식어는 익숙하지만 IT가 어떤 분야고 무슨 개념인지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나 역시 과학에 관심이 있지만 누군가 설명하라고 자리를 깔아주면 부담스럽다. 그렇게 우리와 '과학'은 거리가 있게 느껴진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과학을 무섭고 두려운 존재로 인식하는 것일까? 답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어려서부터 과학을 '공부'로만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내가 아닌 똑똑한 누군가가 할 것이라는 생각이 무의식 중에 있고, 이는 '과학'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을 깨닫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설성인 작가의 <4차 산업혁명은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는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10대 이공계 대학에서 과학이 어떤 의미이며 어떤 형식으로 교육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과학이 발전하는 것은 기쁜 일이지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오직 사람이고 교육이다. 책을 읽다보면 미국, 스위스부터 가까운 일본까지 과학 기술로 빠지지 않는 10개의 대학들이 바라보는 과학은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다. 책을 읽다보면 대학들의 교육 철학에 놀라지만, 그 10대 대학을 졸업하거나 그 대학에서 강의를 하는 한국 사람들의 인터뷰도 흥미롭다.
이 책을 통해 다른 나라의 과학 교육을 타산지석 삼아 우리에게 적합한 과학 교육과 우리나라만의 철학을 지니도록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여전히 한국을 IT강국이라 말하는 곳은 많다. 하지만 과거에 비해 과학 기술의 발전이 더딘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현 대통령의 공약 중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것이 있었다. 빠른 결과와 수익을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정서와는 다르지만 반드시 가져야 하는 자세다.
과학은 생각보다 먼 존재가 아니다. 우리 주변에 과학과 연관되지 않은 것은 없다. 앞으로의 생활은 더욱 그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이 멀다고 생각하는 청소년과 대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과학에 흥미를 가졌으면 한다. 우리나라는 이제 4차 산업혁명이 원하는 인재를 찾기보다 그러한 인재가 되길 원하는 세대가 나오도록 분위기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