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 내공 - 이 한 문장으로 나는 흔들리지 않는 법을 배웠다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지수 옮김 / 다산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즐기는 사람들마다 좋아하는 문장과 상황을 표시하는 법은 다양하다. 나는 플래그 포스트잇을 이용해 표시하는 편인데, 구체적인 생각이나 상황 정리는 다이어리에 별도로 정리한다. 사이토 다카시 작가도 책 속의 한 줄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한 줄 내공>은 다양한 책 속의 한 줄과 그 한 줄의 배경, 그리고 작가의 생각을 담고 있다. 작가는 '가슴에 품은 한 줄의 글이 나를 성장하게 한다'고 하는데 삶에서 마주하는 벽을 돌파하는 원동력이 희망이며, 이때 희망은 말과 글을 통해 피어나고 지속된다고 말한다.


다양한 책마다 한 줄씩 뽑아 이야기를 풀어낸 <한 줄 내공>은 작가 사이토 다카시의 다이어리를 몰래 열어보는 기분이 들게 한다. 청춘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 인생 이야기, 실패 이야기 등 단어 그대로 삶 속에 '내공'이 되는 한 줄과 그것에 맞는 작가의 생각을 담은 문장과 스토리텔링을 읽다보면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모르게 사라져버린다.


상투적인 표현들이 가득하다고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 자체가 굉장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책을 읽으며 불편하거나 지루하지는 않다. 더불어 책을 읽고 적은 작가의 이야기를 보며 내 인생에 적용하고, 나만의 이야기를 풀어낸다면 더 큰 의미를 지니지 않을까 생각하며 자극이 되기도 했다.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소통이라는 말이 있다. 자서전이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책이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책'은 그 시대의 배경과 상황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렇기에 '독서'란 책이 쓰인 시절의 작가를 들여보는 것이고, <한 줄 내공>의 글쓰기 방법처럼 문장을 바탕으로 나만의 이야기를 적는 것은 작가와의 '소통'인 것이다. 


요즘은 책을 즐겨 읽는 사람들이 많다. 인터넷이나 각종 대형서점이 전국에 위치해있고, 심지어는 해외 도서조차 집 앞으로 배송되는 시대이기 때문에 독자들은 다양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다. 이런 환경은 다양한 작가들과의 만남 역시 가능하다는 이야기인데, 작가와 소통하는 독자는 몇 명이나 될까? 나 역시 문장을 표시하는데 그치거나, 아주 종종 다이어리에 '끄적이는' 정도이기에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을 다잡게 됐다. 표시된 문장은 분명 그 자체로 의미가 될 수 있지만, 나만의 생각을 추가하는 순간 분명 '내공'으로 변화한다. 그렇기에 그런 과정을 이 책을 읽은 독자도, 그리고 그렇지 않은 모든 사람들도 적용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