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
장동선 지음, 염정용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로는 그림자 그림이 말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 주기도 한다.

 

'뇌 과학'이라면 굉장히 어렵고 복잡할 거라 생각된다. 하나의 강의로 접하는 듯한 구성의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는 막연하기만 했던 분야를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생각'이란 개념은 이성적인 것 같으면서도 이상적인 개념으로 정리할 수도 있다. 막연한 꿈, 혹은 희망을 뜻하기도 하는 생각. 다양한 모습을 지닌 생각을 이끄는 '뇌'는 어떤 공간인지 흥미로워졌다. 각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는 모습이나 필터를 거르는 모습, 혹은 이상적으론 씀씀이가 크지만 이성적으론 인색한 모습 등. 책에서 말하는 뇌의 모습은 책의 초입에 적힌 문구로 충분히 표현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 어떤 것이든 우리가 세상에서 보거나 듣고나 경험하는 모든 것은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특별해. 네가 인지할 때에서야 비로소 이 세상은 만들어지거든. -더글러스 애덤스-'

 

책의 내용은 굉장히 풍성하다. 처음 접하는 심리학 혹은 뇌 과학과 연관된 용어들은 낯설지만 나와 관련된 단어이기에 금세 익숙해졌다. 더불어 이 낯선 단어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머리 속에 (선별적인 과정을 거쳐) 남았다.

 

뇌 과학이란 멀기만 한 개념이 아니다. 우리 생활 속에 익숙하게 접할 수 있고, 그 어떤 분야보다 우리 삶에 녹아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다만, 낯선 개념을 아무런 정보가 없는 사람에게 설명하는 과정은 어렵다. 그렇기에 이 책과 책의 저자의 글 솜씨와 구성이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앞서 말한 이상적이면서 이성적인 삶을 꿈꾼다. 이 책을 통해 내 뇌를 더욱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을 다양한 개념을 통해 정리해 볼 수 있었고, 내 뇌 속에 어떤 뇌가 있는지 생각해보게 됐다.

때로는 그림자 그림이 말보다 더 많은 것을 알려 주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