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고 쓰는 첫 문장으로 적합하지 않지만, 나는 역사를 싫어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고등학교 과목이었던 ‘국사’를 싫어했다. 고등학교 1학년, 너무나도 괴로웠던 수업시간과 비례한 점수를 받고 나는 결심했다. 국사를 배우지 않는 이과를 가기로. 그리고 정말, 나는 국어를 좋아하고 지리를 좋아함에도 이과를 갔다ㅡ물론 수학을 좋아한다는 핑계로 부모님을 설득했지만ㅡ. 지금 생각해보면 고등학교 1학년, 그 국사 시간이 왜 그리 끔찍했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국사 시간에 배운 게 기억나지 않는 건 당연할수도.
굳이 시간을 되돌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역사를 통해 무수히 많은 선택과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세상에 이보다 더 쓸모 있는 학문이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책을 읽고 역사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며, 내가 경험했던 끔찍한 기억보다는 꽤나 흥미로운 학문이라는 걸 느꼈다. <역사의 쓸모>는 역사라는 큰 범위 안에서 인생을 설명하고자 한다. 역사 속 인물과 사건, 그리고 이것들이 만든 많은 이야기를 통하여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고, 미래를 꿈꾸도록 응원한다. 유명 역사 강사인 최태성 작가의 유려한 말솜씨도 ‘역사 이야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알고 있어야 한다고 외치면서도 내가 늘 지루하고 주눅들었던 이유는 단 하나다. 암기에 자신없는 것. 수많은 연도와 인물들의 이름, 그리고 각 나라의 특징까지. 아무리 기억을 더듬어도 제자리 걸음이고 도무지 입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이 무시무시한 역사 공포증, <역사의 쓸모>를 통해 해결했다. 어떻게? 바로 이 문장 하나로 말이다.
역사는 아득한 시간 동안 쌓인 무수한 사건과 인물의 기록입니다. 그야말로 무궁무진한 콘텐츠라고 할 수 있지요. 그 안에는 수많은 사람의 삶과 그 과정에서 형성된 문화의 흥망성쇠가 담겨 있습니다. 여러분이 어느 새로운 대상을 접하든, 어떤 일을 벌이든 역사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없는 것은 거의 없어요. 음식도, 옷도, 우리 삶을 구성하는 주변의 모든 것이 역사 속에서 함께 발전해온 것이니까요.
콘텐츠와 미디어라면 누구보다 관심을 가지고 보는 내게 이 문장을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더불어 나는 이제 시험에서 해방된 자유의 몸이 아닌가. 누군가에게 증명할 필요도 없고, 과거에 일어난 특별한 콘텐츠로 받아들이기로 마음먹은 순간부터 유명한 유튜버의 영상을 시청하는 마음처럼 편안해졌다. 그러자 이야기 자체에 공감하는 등 과거의 인물과 대화가 가능해졌다. ‘나라면 그러지 않았을 텐데’라는 태도로 접근하자 그들이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던 시대상을 발견할 수 있고 그렇다면 나와 같은사람은 없는지 찾아보며 그 당시의 갈등에 접근할 수 있었다. 나는 그렇게 역사의 재미에 빠진 것이다.
단순히 역사에 재미를 얻은 것만으로도 만족한다. 그러나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미래, 더 가까이는 앞으로 살아갈 내 인생을 이 역사를 바탕으로 어떻게 적용해나갈지 생각하는 가치를 알 수 있었다. 역사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살아온 기억, 그리고 앞으로의 선택 하나하나가 삶이자, 역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드디어, 그 역사의 쓸모를 제대로 이용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