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온실 수리 보고서
김금희 지음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금희 작가의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다 읽고 창경궁을 걸었다
<대온실수리보고서>를 다 읽고 나서 바로 원서동과 창경궁을 다녀왔다. 봄을 재촉하는 비를 맞으며 깡통분식부터 빨래터까지 걸었다. 세탁소 등 골목마다 영두와 순신이 다녔을 곳들을 찾아보았다. 작가도 소설적 창작을 위해 이 거리를 백 번은 걷지 않았을까?
창경원의 서쪽인 원서동은 아직도 창덕궁 돌담벽에 기대어 건물들이 위태로이 서있었다. 작가는 낙원하숙으로 어디쯤을 생각했을까? 내 나름대로 한 곳을 찍긴 했다.
창덕궁으로 들어가 함양문을 거쳐 창경궁으로 넘어갔다. 일제강점기에 근대적 왕립도서관인 장서각이 있었던 자경전 터도 거쳤다. 돌아가니 이 소설의 주요 무대인 춘당지와 대온실이 있었다.
영두와 리사가 스케이트를 타던 창경원 춘당지와 그 앞의 대온실에서도 문자와 영두의 흔적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대온실은 1909년 문을 열어 지금까지 백년이 넘도록 식물들을 돌보고 있었다.
춘당지에는 커다란 잉어들과 백여마리의 쌍쌍이 원앙들,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는 고양이들이 있었다.

<대온실 수리 보고서>가 나를 움직이게 한 이유
왜 나는 이 소설을 읽고 창경궁으로 뛰어갈만큼 이 소설에 이렇게 깊숙이 들어가게 된 것일까? 무엇보다 작가의 글이 참 좋다. 힘주지 않은 문장이 좋다. 주변 상황을 묘사함으로써 인물의 심리상태를 그리는 표현이 뛰어났다. 울림이 큰 문장을 쓰면서도 전혀 잘난 척이 느껴지지 않는다. 게다가 아웃사이더에 대한 따듯한 시선이 글로서 드러난다.

<대온실 수리 보고서>의 주제
이 소설의 주제는 상처와 극복이다. 건축, 탐조, 식물, 벨에포크 시대, 잔류일본인 등 최근 가장 핫한 이야기들이 다 들어 있다. 내용으로는 크게 네 인물의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영두, 문자, 산아, 후쿠다, 이들이 모두 소설에서 이야기로 연결되어 있다. 이 이야기들을 쫓아가다보면 400페이지 넘는 소설이 쉽게 읽힌다.

<대온실 수리 보고서>의 장점: 살아있는 캐릭터
산아와 영두의 대화나 건축사무실 직원들간의 대화를 보면 유머, 재치, 공감 등이 들어있다. 실제 존재할 것 같은 캐릭터들로 느껴진다.
곤줄박이로 표현되는 제갈도희 같은 캐릭터도 매력적이다. 동궐관리단의 정과장도 내가 한번 마주친 것 같은 공문성애자 공무원 캐릭터이다. 산아도 엄마를 걱정하는 영민한 아이이다. 문자가 제일 알기 어려운 캐릭터가 아닐까?

<대온실 수리 보고서>의 장점: 고증을 거친 공간의 역사
역사와 공간의 이야기를 완성하기 위한 김금희 작가가 노력도 멋지다. 소설 뒤에 붙은 참고문헌만으로도 느껴진다. 더 읽어보고 싶은 책들도 보인다. 소설의 확장력이 놀랍다.
원서동이란 이름 자체도 창경원의 서쪽이다. 원서동에 틀림없이 창경원의 동물원과 식물원에서 일하던 사람들이 살았을 것이다. 일본인들은 아마도 일본인들 구역에 살았을 것이고 조선인들이 살았던 동네일 것이다.
작가 인터뷰에 보면 이미 재교가 나온 상태에서 알라딘 중고서적에서 우연히 만난 가회동성당 책을 보고 내용을 바꿨다고 한다. 중간에 증개축이 된 것을 모르고 20년이 지나서도 가회동성당이 그대로라고 썼었단다. 바로 고쳤다고 한다. 나도 등골이 서늘한데 작가는 오죽했을까.

작가에 대하여
김금희 작가는 1979년 생으로 부산에서 태어나 인천에서 자랐고 인하대 국문과 96학번 천주교인이다.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을 새에 비교한 묘사가 출중했다. 작가는 무슨 새냐고 물어보니 팽권이란다. 바다에도 살고 육지에도 산다. 소설가로서도 살고 생활인으로도 살고 있다. 바다에서 육지로 멋지게 스위치하면서 사는 게 아니라 뒤뚱거리며 뭔가 어설프단다.
항상 아웃사이더들에게 관심이 많았고 본인도 아웃사이더라고 한다. 인천 출신의 힘이 있다. 주변부가 오히려 본질을 꽴뚫는 힘이다. 1980년 생으로 인천 송도고를 나온 김애란도 그렇다.

나의 어린 시절 창경원의 추억
서울에서 자란 우리 세대는 어린 시절 창경원에 대한 추억이 있다. 어린이날이면 창경원에 가서 케이블카와 대관람차 등을 타는 것이 우리 또래의 소원이었다. 회전목마도 있었고 줄에 매달려 돌아가는 그네와 비행기도 있었다. 무엇보다 내가 좋아했던 것은 동물원이었다. 얼룩말을 특히 좋아했다.
서울랜드가 과천에 생기면서 동물들이 이사가고 창경원은 어느 새 창경궁으로 새로 단장을 했다. 역사 바로 세우기라고 했다. 일본인들이 조선왕조의 신성한 궁을 일부러 짓밟으려고 창경원으로 바꿨다는 그럴 듯한, 어쩌면 우리가 듣고 싶어하는 얘기들이 나돌았다. 지금도 그런 얘기를 담고 있는 기사들이 있다.
대온실 소설을 읽으며 찾아보니 왕립식물원과 동물원에 경성부민들을 들어오게 만은 것은 순종의 뜻이었다. 대신들이 격렬하게 반대했으나 순종은 애민을 얘기하며 밀어붙였단다. 이 얘기도 좀 이상하긴 하다. 정말 격렬하게 반대했을까?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읽고 나서 향후 계획
작가의 다른 작품들인 소설 <경애의 마음>과 산문집 <식물적 낙관>도 읽어봐야겠고 강화를 거쳐 석모도도 다녀와야겠다. 읽고 싶은 작품의 제목에서도 작가가 느껴진다. 민머루해수욕장에서 영두, 산아, 문자의 마음을 헤아려봐야겠다.

<대온실 수리 보고서> 참고자료
팟캐스트로 이 소설에 대한 리뷰를 듣고 싶어서 찾아봤으나 없었다. 팟캐스트가 문제일까 아니면 출판시장의 문제일까. 그 망망대해인 유튜브에서는 <대온실 수리 보고서>에 대한 이동진 평론가의 서평과 김금희 작가의 인터뷰가 있다. 둘 다 매우 좋긴 한데 이동진 평론가는 IPTV인 BTV 채널이고 김금희 작가 인터뷰는 책이 나온 창비 채널이다. 리뷰를 올리게 된 동기가 되었다.
재조선 일본인에 관심이 많아 책들을 몇 권 갖고 있다. <경성의 브로커들>, <조선을 떠난 일본인들>, <경성의 주택지> 등이다. 잔류일본인에 대한 책은 이번에 찾아보니 없더라. 그래서 작가도 논문을 참고했나 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ng: The Soul of Korean Cooking (More Than 60 Recipes Featuring Gochujang, Doenjang, and Ganjang) (Hardcover) - 강민구 셰프의 쿡북 JANG(장)
Mingoo Kang / Artisan Publishers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민구 셰프가 이 책을 쓰기까지 4년 걸렸다고 했다. 훑어보니 10년은 담아둔 책이다. 영어로 썼지만 한글로 된 우리 장 관련 책도 이처럼 알차고 멋진 책은 잘 없다. 영어가 좀 약하더라도 관상용으로도 멋진 책이다. 토요일 오후 멋진 소파에 앉아 이 책을 펼쳐 사진만 보아도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ang: The Soul of Korean Cooking (More Than 60 Recipes Featuring Gochujang, Doenjang, and Ganjang) (Hardcover) - 강민구 셰프의 쿡북 JANG(장)
Mingoo Kang / Artisan Publishers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민구 셰프가 이 책을 쓰기까지 4년 걸렸다고 했다. 훑어보니 10년은 담아둔 책이다. 영어로 썼지만 한글로 된 우리 장 관련 책도 이처럼 알차고 멋진 책은 잘 없다. 영어가 좀 약하더라도 관상용으로도 멋진 책이다. 토요일 오후 멋진 소파에 앉아 이 책을 펼쳐 사진만 보아도 행복하다. 

한국인 토종 셰프가 미쉘린 2스타인 것도 대단한 일이고 그런 셰프가 수 년간 자신이 직접 장을 담아서 음식을 만들어보고 그 것을 책으로 냈다는 것이 더욱 놀랍다. 

우리 장의 역사와 장 만들기, 장을 활용한 요리 레시피 등을 챕터로 담아 이 책 한 권이면 우리 장에 대한 모든 알 수 있다. 이 책에서 가장 멋진 챕터는 장의 응용이다. 맛간장, 초고추장 등 기본 장을 베이스로 요리에 쓸 수 있는 소스에 대한 것이다. 우리 장의 세계화와 미래를 생각할 때 우리에게도 이금기 소스나 하인즈 캐첩 같은 응용 브랜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리사로서 강민구 저자의 고민이 이렇게 드러나 있어 더욱 값진 책이다. 

한국 음식에 관심 많은 외국 친구에게 주려고 샀는데 그냥 내가 가졌다. 그 친구에게는 새 책을 사줘야 겠다. 이 책을 받아 든 그 친구가 얼마나 좋아할지 생각하면 내가 다 뿌듯하다. 

강민구 셰프님과 두 명의 저자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방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박창식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방 커뮤니케이션이 절실한 지금 꼭 필요한 책이다. 국군의 뿌리부터 민군관계와 군구성원과의 관계가 점점 꼬이고 있다. 홍보전문가로서 관심이 있어 구매했다. 박창식 저자는 기자출신으로 국방홍보원장을 지냈다. 게다가 커뮤니케이션 박사다. 아는 군관계자들에게 선물로 돌려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 1876~1945 역사도서관 22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 길(도서출판)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고의 책과 최고의 친구들. 우치다 준 교수의 <제국의 브로커들>로 독서토론을 시작한 것이 2020년 12월이었다. 코시국 답답한 마음에 줌으로 고등학교 동창들과 시작했다. 1년 넘게 한 챕터씩 아홉차례 모임을 가졌다. 드디어 대장정을 마치고 오늘은 그 책거리날이다.

<제국의 브로커들>은 식민지 조선에 살았던 일본인들의 이야기다. 식민역사에서 주역이었던 이들은 피해자이자 가해자였던 경계인적 위치 때문에 전후 일본제국사와 한국사 어디에도 속할 수가 없었다. 조선 거주 일본인 3세인 스탠포드 우치다 준 교수가 이들의 역사를 치밀하고 꼼꼼하게 복원해냈다. 이렇게 밀도감 넘치는 문장을 읽는 것은 말랑해져가는 뇌를 쫀득하게 긴장시키는 독서의 큰 기쁨이다. 한승동 기자의 번역도 훌륭하다.

1940년 이후 전후 식민지 국가총동원령이 마지막 주제였다. 애국반 활동, 황국신민체조, 정오 사이렌 묵념, 황국신민서사 암송, 군 위문편지 쓰기, 우편저축 활동, 식생활 개선운동, 가정의례준칙 등이 1940년 대 식민지 조선의 풍경이었다. 우리가 겪었던 박정희 시절은 이 시절의 2차 국가총동원령 체제였단 생각이 들었다. 심지어 일본 내지에서 어떤 것은 수입해가고 조선 청년들이 황국신민이 되기 위해 더 애국적이기도 했다.

“일본인보다 더 나은 일본인이 되겠다는 그들의 강력한 욕구는 조선의 민족감정을 포기한 것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도착이었다. 차별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욕망, 즉 일본인과 대등해지고 싶다는 욕망이 강할 수록 그들은 자기 부정 방법은 더 급진적인 것으로 변했다.“
<제국의 브로커들 519페이지 주>

1940년 대 식민지 조선을 얘기하며 우리가 만난 곳은 1940년 문을 연 혜화로터리 중식당 금문이다. 나무계단에서 김구 선생이라도 만날 것 같은 곳이다. 자장면과 양장피를 먹었다.

다음 책은 만주국의 역사를 다룬 <만주 모던>이다. (책 이름 멋지다 모던 이라니). 박정희 경제 체제의 모델이었던 만주국이다. 부교재로 만주국 이야기인 <무지갯빛 트로츠키> 만화책도 같이 볼 예정이다. (무지개와 트로츠키라니!)

내 인식의 지평을 넓혀준 우치다 준 교수님과 한승동 번역가 님에게 감사한다. 내 50대를 빛나게 하는 친구 최진혁 군과 장일범 군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