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 털보 과학관장이 들려주는 세상물정의 과학 저도 어렵습니다만 1
이정모 지음 / 바틀비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정모 교수는 서울시립과학관의 관장을 맡고 있는데 단순한 전시, 설명이 목적이 아닌 진짜 과학의 세계를 보여주고 싶어한다. 과학의 진면목은 실패하고 계속해서 도전해나가고 의문을 품고 발견해 나가는 것이라 설명하며 학생들에게 과학을 친근하게 소개하는데 중점을 둔다. 정말 맞는 말이다. 별자리 신화가 얼마나 흥미로운지보다 그것이 지구와 별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어떤 원리로 이루어져 있는지, 또 아르키메데스가 아무리 욕조로 들어가 '유레카'를 외쳤다 해도 그에 따른 부력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과학이 아니라 단순한 암기에 불과한 것이다. 이런 실험관찰에 의거한 교육들이 아이들에게 행해졌을 때 나는 아이들의 정신력과 창의성에도 무척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믿는다.


책의 형식은 과학서적 보다는 과학자의 시선으로 재치있게 일상을 소개한 에세이 정도로 볼 수 있다. 어려운 원리도 일상에 깃들어 있는 행동들을 통해 발견이 될 때 더욱 쉽게 이해가 된다. 인간과 사회에 교묘하게 엮여져 있는 과학의 원리들을 탁월한 눈높이로 바라본다. 그리고 그가 바라보는 사회의 모습이 무척 유쾌해 보였다. 객관적인 시선에서는 편향된 정치색의 표현에 불편함을 갖출 수도 있겠지만 폐허가 된 현재 사회의 모습을 유쾌하게 꼬집고 풍자하는 모습에 더욱 재치있게 느껴졌다. 


과학에 쉽게 입문할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된 제목을 가진 이 책은 어린이 교양 추천서로는 적절하지 않다. 일찍이 과학과 거리를 벌린 사회인들이 흥미롭게 볼 수 있을 법한 내용이다. 처음에는 그의 서술방식이 와닿지 않았다. 친근한 느낌을 주며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형성하는게 살짝 과도한게 아닌가 해서 인위적인 느낌을 받았다. 그런 생각을 하며 계속 읽어나가는 와중에 바뀐 생각은 인위적이라기보단 인간적이라는 생각이 강했다. 과학자라고 해서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딱딱할 것만 같다고 여겨질수도 있을 텐데 이정모 관장은 선입견이긴 해도 그의 푸근한 외모처럼 정감이 많이 가는 소통방식으로 과학의 세계에 친근하게 입문할 수 있게 해준다. 과학과 거리가 있던 내게는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유쾌한 서적으로 심심풀이, 킬링타임 정도로 볼만한 가볍고 여유로운 책이다. 과학 서적의 정석 코스모스를 읽기 위해 요즘 과학교양서들을 찾는 중이었다. 제법 기름칠이 된 것 같아 다행이다. 


p 60
세상에서 가장 작은 원자가 빛을 내는 것이나 세상에서 가장 큰 별이 빛을 내는 것이나 원리는 똑같다. 에너지를 버릴 때 빛난다. 자기의 것을 버리고 작아질 때 빛난다. 빛나는 모든 것은 아름답다. 이 말은 버리고 작아지는 것들이 아름답다는 말과 같다. 더 낮아지고 더 많이 버리시기를.

p 83
‘과학적‘이라는 것은 최대한 간단하게 잘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버려야 할 것은 ‘탐욕‘이며 갖추어야 할 최소한 것은 바로 ‘염치‘다. 염치만 있으면 누구나 과학적으로 생객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대한민국의 전진을 위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그들을 기리는 노래 하나 편하게 부르지 못하는 나라를 변명하려면 너무나 많은 구차한 논리들이 필요하다. 깔끔하게 가자.

p 110
"믿음을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남을 해롭게 한다."

천동설은 비록 틀렸지만 아주 좋은 과학이다. 하지만 천동설주의자는 사회의 폐단일 뿐이다.

p 160
"우리는 항상 세 가지를 의심해야 한다. 자신의 눈, 자신의 기억 그리고 다른 사람의 말이 바로 그것이다."

내 기억은 다른 사람의 말에 의해 왜곡된다. 신뢰할 만한 사람의 말일수록 더 의심해야 한다. 의심하고 의심하고 의심하자. - 약학칼럼니스트 정재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