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과 6펜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예술가의 영혼을 특별히 지니고 태어난 사람이 존재할까? 그렇다면 그 특별한 영혼은 평범한 사람이 보았을 때 어떻게 받아들여질 수 있을까? 또 그들은 무엇을 위해 그런 감각을 갖춘 채 태어났을까?
나는 해설을 보기 전 까지는 제목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했다. 책의 해설부에서 달은 신비롭고 찬란한 영혼의 세계를 은유하고 6펜스는 세속적이고 현실적인 세계를 표현한다고 말해준다. 그리고 이 책은 그 두 세계 사이에서 갈망하게 만드는 어느 예술가의 예술혼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쩌면 우리들은 모두 찰스 스트릭랜드처럼 각자의 예술혼을 갈망하는 영혼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 저마다의 영혼이 존재하고 그것과 얼마나 친밀해지는가에 대해 사회는 예술가로 그들을 규정지을 수 있는지도 모른다. 책의 주인공인 찰스 스트릭랜드는 안정적인 직장과 단란한 가정, 남부러울 것 없는 환경 속에서 돌연 자취를 감추고 만다. 수소문해서 찾아낸 끝에 그는 주변 인물들의 예상과 달리 여자와 함께 있지도, 속세의 쾌락에 찌들어 있지도 않았다. 그가 허용한 쾌락은 그저 내면으로부터 끌어져 나오는 영감의 표출이 전부인 것 같았다. 오로지 그 하나만을 가지고 그 남자는 문명의 흐름을 벗어나 유유히 살아간다. 그리고 스트릭랜드는 돈도 없고 몸도 쇠약해지며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러나 그의 내면은 결코 나약하지 않았다.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영혼에 충실하고자 하였으며 그 외의 것들은 그에게 모두 무가치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리라. 그렇기에 죽어가는 그를 블란치와 스트로브가 살려주었을 때도, 그를 사랑했던 블란치가 자살했을 때에도 무덤덤한 태도에 그친다. 그의 가치관은 질병과 죽음은 삶을 살아가는 것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라 느꼈기에 조금의 미동도 있지 않았다. 그렇기에 자신의 죽음을 목전에 두고서도 의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자신의 삶의 가치를 내면의 예술 표현에 전부 바쳤기 때문에.
나는 아직까지도 혼란스럽다. 예술과 윤리정신에 관한 문제를 다룬 이 소설은 여러 물음들을 이끌어 주었다. 스트릭랜드가 그러한 결과물을 남겨 놓지 않았더라면, 세간의 인정을 받지 못했더라면. 세상은 그를 괴짜취급하며 무시하고 그의 아내도 그를 계속 증오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인간은 세속적인 욕망으로 치우쳐지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요즘 시대에서는 특히 더욱... 어떻게 보면 이 작품에서 묘사된 배경의 시대였기 때문에 가능한 예술성이라 인정받아진 것이 아닐까. 지금에서야 드는 생각도 시대착오적인 행동이라고 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를 왠지 모르게 이해할 수 있었다.
p 191 사람들은 아름다움이라는 말을 너무 가볍게 사용한다. 말에 대한 감각이 없어 말을 너무 쉽게 사용함으로써 그 말의 힘을 잃어버리고 있다. 별것 아닌 것들을 기술하면서 온갖 것에 그 말을 갖다 쓰기 때문에 그 이름에 값하는 진정한 대상은 위엄을 상실하고 만다.
p 197 습관이 오래되면 감각도 무뎌지게 마련이지만 그러기 전까지 작가는 자신의 작가적 본능이 인간성의 기이한 특성들에 너무 몰두하는 나머지 때로 도덕의식까지 마비됨을 깨닫고 당혹스런 기분을 느끼는 때가 있다. 악을 관조하면서 예술적 만족감을 느끼는 자신을 발견하고 약간 놀라기도 한다. 하지만 정직한 작가라면, 특정한 행위들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기보다 그 행위의 동기를 알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강렬하다는 것을 고백할 것이다. 작가는 논리를 갖춘 철저한 악한을 창조해 놓고 그 악한에게 매혹당한다. 비록 그것이 법과 질서를 능멸하는 일이 될지라도 그렇다.
p 198 작가는 악당을 만들어 내면서 자기 안에 깊이 뿌리박고 있는 본능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아닐까. 자기가 창조해 낸 인물에 살과 뼈를 부여함으로써 작가는 다른 식으로는 방출될 수 없는 자신의 본능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는 셈이다. 작가의 만족이란 하나의 해방감인 것이다.
p 206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나의 의견을 상대방이 얼마나 존중해 주느냐에 따라 상대방에게 미치는 나의 힘을 측정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사람들은 싫어한다. 그처럼 사람의 자존심에 아픈 상처를 주는 것은 없을 테니까.
p 211 사람은 누구나 세상에서 홀로이다. ... 우리는 마음 속에 품은 소중한 생각을 다른 이들에게 전하려고 안타까이 애쓰지만 다른 이들은 그것을 받아들일 힘이 없다. 그래서 우리는 나란히 사고 있으면서도, 나는 남을 이해하지 못하고 남도 나를 이해하지 못한 채로 함께 어울리지 못하고 외롭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 우리는 마치 이국 땅에 사는 사람들처럼 그 나라 말을 잘 모르기 때문에 온갖 아름답고 심오한 생각을 말하고 싶어도 기초 회화책의 진부한 문장으로밖에는 표현할 길이 없는 사람들과 똑같다. 머릿속에는 전하고 싶은 생각들이 들끓고 있음에도 기껏 할 수 있는 말이라고는 <정원사 아주머니 우산은 집 안에 있습니다> 따위인 것이다.
p 259 인격이 없었다? 다른 길의 삶에서 더욱 강렬한 의미를 발견하고, 반 시간의 숙고 끝에 출세가 보장된 길을 내동댕이치자면 아무래도 적지않은 인격이 필요했을 것이다. 게다가 그 갑작스러운 결정을 후회하지 않으려면 더더욱 큰 인격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정말 아브라함이 인생을 망쳐놓고 말았을까? 자기가 바라는 일을 한다는 것, 자기가 좋아하는 조건에서 마음 편히 산다는 것, 그것이 인생을 망치는 일일까? 그리고 연수입 일만 파운드에 예쁜 아내를 얻은 저명한 외과의가 되는 것이 성공인 것일까? 그것은 인생에 부여하는 의미, 사회로부터 받아들이는 요구, 그리고 개인의 권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저마다 다를 것이다.
p 304 부인은 유행을 따랐을 뿐이겠지만 이 다양한 빛깔들이야말로 실은 남태평양의 한 섬에서 어느 가난한 화가가 가졌던 꿈에서 비롯한 색깔들이라는 것을 알고나 있을까?
p 314 그는 기본적으로 자기가 거부하는 세계의 기준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 것은 파렴치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자신의 양심의 기준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그는 세상 윤리를 부인한다기보다 그보다 더 근본적인 윤리를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