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


이제는 누구나 쉽게 컨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시대이다. 그러므로 제작자의 생각은 그 컨텐츠에 그대로 드러나게 되고 그것을 소비하는 자로 하여금 제작자의 생각을 반영케 한다. 그렇기 때문에 컨텐츠는 서로를 존중할 수 있게 해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요즘의 컨텐츠는 다르다. 일시적인 자극을 위해 혐오와 차별이 기반이 되어 개인에게 타락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사회적으로 이런 형태의 재미가 지속된다면 소비자들은 그 차별적인 시선에 프레임을 생성하게 되고 나와는 다른 누군가를 존중하는 게 아니라 경시하게 된다. 그것은 무의식에도 작용을 하게 된다. 누군가를 평등하게 바라보지 않고 약자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평등한 관계에 우와 열을 나누게 만드는 논리들은 힘, 재력, 인종, 성별 등 우리에게 천부적으로 주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작용을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컨텐츠들이 즐비한 환경에서 자연스레 우월한 위치로 묘사되는 부분에 대해 칭송한다. 어떤 가치에 대해서 우월함을 상정해 놓는다면 자연스레 열성적인 형태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사회는 외모의 미와 추에 대해 너무나 분명한 경계를 구분 지어 놓았으며 그 부분들을 희화화하며 웃음으로 소비한다. 비슷한 예로 지성에 대한 가치도 그렇다. 지금까지는 그런 방식으로 누군가가 고통 받고 프레임을 형성한다는 것을 묵과한 채 웃음으로 승화시켰겠으나 더는 두고볼 수 없는 일이다. 우리는 고통 받는 사람들의 환경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잘못된 방식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느끼고 지적해주어야 옳다. 모든 인간은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 다름의 특성으로 인해 일반화되고 매도 당해서는 끊임없이 피해자만을 양산할 뿐이다. 이 책에서 인용되어진 영화들은 대부분 차별 당하는 입장에서의 인권을 지켜내기 위해 제작되었다. 영화는 책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경험을 간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컨텐츠이다. 그렇게 우리는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나 혹은 내 주변인이 존중받기를 원한다면 나부터 다른 이들을 존중하도록 하자. 

이런 공격에 대해 하비 밀크는 웃으면서 여유있게 반문합니다. "그런데 동성애를 어떻게 가르칩니까? 프랑스어를 가르치듯 그냥 가르치면 되는 겁니까?" 밀크는 이에 덧붙여 자신은 지독한 이성애자 사회 속에서 이성애자 부모로부터 태어나 이성애자 선생님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는데도 왜 이성애자가 되지 못했느냐고 질문합니다. 자신이야말로 성적 지향이 교육으로 만들어지거나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의 산 증거란 이야기입니다. - P65

공주는 그 자체로 충분히 아름답고, 충분히 정상이고, 충분히 사랑스러운 존재입니다. 굳이 환상 장면을 덧붙일 필요는 없었다는 말씀입니다. 사족이 돼버린 환상 장면들은 그저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장애인이라면 이런 꿈을 꾸고 있을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하는 일종의 편견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철저하게 남성적인 시선, 철저하게 비장애인의 입장으로 만든 장애인 영화일 수밖에 없습니다. - P150

좋은 다큐멘터리들이 아무리 쏟아져도 그걸 찾아서 보는 사람들은 극소수입니다. 거기다가 그 다큐멘터리를 보려면 인터넷을 검색해서 날짜를 기다리고 구석진 상영관을 찾아가는 수고를 감수해야 합니다. 그런 수고가 필요하다보니, 어렵게 영화를 보러 가면 모두 ‘같은 편‘만 모여 있습니다. 그 영화를 보지 않아도 어차피 같은 목소리를 낼 사람들끼리만 모여서 영화를 보게 되는 구조지요. - P1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