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대 게임 - '세대 프레임' 을 넘어서
전상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월
평점 :
논문의 형식을 차용한 거 같은 문체는 지루함을 자아냈지만 저자의 주장이 흥미로웠기에 완독할 수 있었다. 세대 프레임을 만드는 레토릭 사이에 현혹되지 않을 것. 그리고 진정으로 우리가 불빛을 갖추고 바라보아야 할 것. 이 시대의 언론은 끊임없이 갈등을 부추긴다. 그것이 비단 세대에만 관련된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p 16 ‘선의‘를 가지고 돕던 경관은 취객의 ‘지휘‘아래 헛된 일만 한다. 혹시 우리도 ‘세대 프레임‘의 강렬한 불빛에 현혹되어 엉뚱한 곳만 주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p 32 갈등은 모든 세대에 존재하기 마련이다. 중요한 것은 이거다. 여러 사회갈등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 자체로 무의미한 세대 갈등들을 하나로 겹쳐 보이게 만들면, 우리는 싸우지 않아도 되는 일로 격하게 싸워야 할지도 모른다. 의심하고 주저하는 역할이 중요한 까닭이 그에 있다.
p 42 상사는 연령 세대의 관점에서 후배를 대하지만, 후배들은 동년배 세대의 입장에서 상사를 대한다. ‘내가 거쳐 온 길을 너희도 걸을 것‘이라는 연속성의 입장과, ‘당신은 당신의 길을 걸었고 우리는 우리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는 차이를 강조하는 관점의 갈등이다.
p 71 "모든 청년들의 대규모적인 자격과 노동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는 현재의 노동 사회에서 청년은 더 이상 진보와 갱신의 상징적 표현이 되지 못하며, 경제적이며 기술적인 사회의 자체 동력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렇게 청년의 가치가 하락했다. 그렇게 청년=미래의 등식도 해체되었다.
p 82 지그문트 바우만의 이야기로 마무리하자. "젊은이들을 또 다른 사회적 부담으로 여기는 시각이 퍼지면서 이들은 더 이상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는 담론에 포함되지 않게 되었다. 대신 이제 이들은 처분 가능한 인구의 일부로 간주된다." 즉시 전력감도 아니고 미래도 열 수 없는, 단지 사회적 부담에 불과한 청년은 처분 가능한, 곧 한 번 쓰고 버릴 수 있는 소모품일 뿐이다.
p 107 세대 전쟁론에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세대 회계는 여러 지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역사적 우연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걸핏하면 차별이라 외친다. 가족이라는 제도를 무시하고, 합리적 개인만을 고려한다. 보상을 문제로 삼을 뿐 가불은 문제 삼지 않는다. 곧 세대 간에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는 이들의 예측은 분명 공론장의 주목을 끄는 데 도움이 된다. 딱 거기까지다. 경험적으로나 현실적, 학술적, 정책적으로 세대 전쟁론은 빈약하고 공허하다. 그러나 그것의 사회적 소구력은 크고 강하다. 나는 그 이유가 세대 전쟁의 ‘레토릭‘에 있다고 생각한다.
p 142 요컨대 비난의 세대 게임은 1. 정적을 지지하는 세대를 자신의 지지 세력으로 만들려는 정당한 정쟁에 더해 2. 사회문제의 해결에는 관심이 없으며 오로지 책임을 회피하고 3. 어떤 정치적인 이익을 챙기기 위해 특정 세대를 희생양 삼아 비난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