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고흐, 영혼의 편지 (스페셜 에디션, 양장) 반 고흐, 영혼의 편지 1
빈센트 반 고흐 지음, 신성림 옮김 / 예담 / 2017년 5월
평점 :
품절


가난했지만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갔던 그. 그리고 그런 형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줄곧 지원해주던 테오.

이 책은 그런 고흐가 세상에 빛을 볼 수 있기 까지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 테오와의 형제애가 여실이 드러나있다. 생전 별로 인정을 받지도 못하고 유화 작품은 한 작품 밖에 못팔던 고흐를 테오는 계속해서 믿어주었다. 

중간에 고흐는 이런 말을 편지에 남긴다. ' 새장에 갇힌 새는 봄이 오면 자신이 가야 할 길이 어딘가에 있다는 걸 직감적으로 안다' 그렇게 고흐는 스스로를 '새장에 갇힌 새'라고, 환경에 묶여 있는 가난한 예술가로 스스로를 묘사했다. 보통 예술가라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주변의 반응에 힘을 얻기 마련이다. 하지만 고흐는 그런 결핍된 상황 속에서 자신에 대한 믿음이 무척 확고했던 것 같다. 어쩌면 테오. 단 한사람만을 위해서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일까. 아니면 자신의 작품을 믿는게 진정한 아티스트로의 첫걸음일까?  난 아직도 내 작업에 대한 확신이 없고 불안한 고민을 떠 안은채 살아가고 있다. 고민은 끝이 없겠지만 그런 모습 덕분에 자신감 까지 잃어버리게 되었었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조금 더 내 작품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자신을 믿어보기로 다짐을 하게 되었다. 그것이 아티스트로써의 가장 중요한 자세인것 가다. 아무래도 이맘 때 쯤에 이 책을 읽기를 잘한 것 같다.


생애 전체가 가난과 불안의 연속인 것처럼 보였던 그는 사실 인간에 대한 생각이 무척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동생이나 다른 이들을 생각하는 마음. 그리고 예쑬가로서의 사명감 또한 인상적이었다. 그렇게 혹독한 삶 속에서의 고통이 위대한 걸작을 남기게 되는것일까? 어떻게 보면 그 고통스렁누 삶이 잇었기에 그의 예술작품이 진한 여운을 남겨 우리의 마음 속에 와닿는 것이 아닐끼? 마지막 까지 처연한 삶을 살다 간 그에게 고맙다는 말을 건네고 싶다.

p 24
새장에 갇힌 새는 봄이 오면 자신이 가야 할 길이 어딘가에 있다는 걸 직감적으로 안다.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도 잘 안다. 단지 실행할 수 없을 뿐이다. 그게 뭘까? 잘 기억할 수는 없지만 어렴풋이는 알고 있어서 혼자 중얼거린다.

p 68
화가의 의무는 자연에 몰두하고 온 힘을 다해서 자신의 감정을 작품 속에 쏟아붓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 된다. 만일 팔기 위해 그림을 그린다면 그런 목적에 도달할 수 없다. 그건 예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눈을 속이는 행위일 뿐이다. 진정한 예술가는 결코 그런 짓을 하지 않는다. 진지하게 작업을 해 나가면 언젠가는 사람들의 공감을 얻게 된다.

p 134
화가는 캔버스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기술을 형식의 문제로만 생각한다. 그래서 부적절하고 공허한 용어를 마음대로 지껄인다. 그냥 내버려두자.
진정한 화가는 양심의 인도를 받는다. 화가의 영혼과 지성이 붓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붓이 그의 영혼과 지성을 위해 존재한다.
진정한 화가는 캔버스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캔버스가 그를 두려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