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과 자기혐오에 가득찬 상태에서 접하게 되었던 책. 인간이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조건은 무엇일까. 그 어떤 가치조차도 갖추어지지 못했기에 실격이라는 단어를 써가며 인간되지 못함을 표현한 것일까. 스스로를 수렁에 빠뜨리는 나를,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는 나를 인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 


내가 믿어오던 신념의 뿌리가 흔들린 적이 있었다. 나는 그 신념을 좋아했고 사랑했다. 그것으로부터 생겨난 나의 여러 생각과 감정들은 나를 지탱해주었고 밑받침해주었다. 그런데 갑자기 찾아온 불안에 의해 견고했던 믿음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믿음은 의심이 되어 나를 파고들었고 그 웅장했던 신념이 지탱했었던만큼 나는 밑도 끝도 없이 추락해버리고 말았다. 내 존재에 대한 회의와 부정이 찾아오며 모든 가치를 잃어버린 것만 같았다. 그런 부정의 상황에서 나는 왠지 그런 내 처지와 닮아있을 것만 같은 다자이 오사무의 책을 접했다. 사실 책을 읽을 힘도 나지 않았지만 왠지 그에 대한 처치나 위로가 있지 않을까 했다.


요조가 바라보았던 세상은 위선과 껍데기만 가득한 세상이었을까. 우리가 이렇게 잘 살아갈 수 있는 것은 내면의 추악함을 감추고 거짓된 모습으로만 세상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인가? 상호간의 공존을 위하여 절제하고 배려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본능을 숨겨내기에. 연약한 영혼은 그 거짓된 세상의 혼돈에 불안해하다가 내면의 어둠에 휩싸이게 된다. 자신의 치명적인 어둠을 봐버렸기에 상처받은 영혼은 치유되지 못하고 깊은 수렁으로 빠진다. 그런 수렁에서 헤어나올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이 책은 해결책을 제시해주지도, 위로해주지도 못했다. 오히려 불안에 휩싸이고 절망으로 빠지던 자아를 더욱 절망 속으로 빠뜨린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래서 더 불쾌하고 찝찝했다. 우울로 가득한 소설은 왠지모를 공감도는 있었지만 곁에 가까이 하고 싶지는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결국 그 절망으로부터 빠져나왔던 것은 내가 지탱할 수 있는 외부의 또다른 믿음이 있었기에. 불안에서 어느정도 회복될 수 있었겠으나, 그런 안식처가 없다면, 그리고 이 책이 더욱더 거대한 절망만을 선사한다면 '스스로의 면책을 위한 아름다운 결말'로 이어지게 되는 것은 과장이 아닐지도 모른다.


어떻게 보면 지나치게 현실에 부적응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생각의 늪에서 헤어나올 수 없는 것일까. 고로 요조를 잡아끈 것은 인간의 본능의 내밀한 악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은 그냥 지나친 자기부정의 생각의 늪으로부터 탈출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생각이 많고 깊은 사람들은 시대의 걸작을 탄생시키기도 하지만 정작 스스로의 우울은 건드리지 못하는 것 같다. 창작을 통해 우울을 해소해 낼 수 있다면 좋겠지만. 보는 이들에게도 전달되어진 그 감정은 어떻게 마무리되어질까. 다행히 운좋게도 불안에서 탈출한 지금의 나는 늪이 있는지도 모르게 살아가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내가 취하고 있는 익살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내 스스로도 자각하지 못한다. 언젠가 또다시 믿음에 금이 가고 내 진실일지도 모르는 추악함에 잠식당했을 때 다시 한 번 이 책을 찾게 될 것 같다. 그 때는 어떠한 감정으로 이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게 될까.

p 23
저는 학교에서 존경을 받을 뻔했습니다. 존경받는다는 개념 또한 저를 몹시 두렵게 했습니다. 거의 완벽하게 사람들을 속이다가 전지전능한 어떤 사람한테 간파당하여 산산조각이 나고 죽기보다 더한 창피를 당하게 되는 것이 ‘존경받는다‘는 상태에 대한 제 정의였습니다. 인간을 속여서 ‘존경받는다‘해도 누군가 한 사람은 알고 있다. 그리고 인간들도 그 사람한테서 듣고 차차 속은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을 때, 그 때 인간들의 노여움이며 복수는 정말이지 도대체 어떤 것일가요. 상상만 해도 온몸의 털이 곤두서는 것이었습니다.

p 25
그러나 저는 아버지 어머니조차도 전혀 이해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인간에게 호소한다. 저는 그런 수단에는 조금도 기대를 걸 수가 없었습니다. 아버지한테 호소해도, 어머니한테 호소해도, 순경한테 호소해도, 정부에 호소해도 결국은 처세술에 능한 사람들의 논리에 져버리는 게 고작 아닐까.

p 41
이것이야말로 가슴 속에 꼭꼭 눌러서 감추고 감추었던 내 정체다. 겉으로는 명랑하게 웃으며 남들을 웃기고 있지만 사실 나는 이렇게 음산한 마음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어쩔 수 없지 하고 혼자 인정했지만 그 그림은 다케이치 외에는 아무한테도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제 익살 밑바닥에 있는 음산함을 간파당하여 하루아침에 경계당하게 되는 것도 싫었고, 또 어쩌면 이것이 내 정체인 줄 모르고 또다른 취향의 익살로 간주되어 웃음거리가 될지 모른다는 의구심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p 91
"그래? 아빠는 아주 좋은 사람이라고 모두들 말하던데."
그건 속고 있기 때문이야. 이 아파트 사람들 전부가 나한테 호의를 갖고 있다는 건 나도 알고 있어. 그러나 내가 얼마나 모두를 무서워하는지, 무서워하면 할수록 남들은 나를 좋아해 주고, 남들이 나를 좋아해 주면 좋아해 줄수록 나는 두려워지고 모두한테서 멀어져야만 하는, 이 불행한 제 기벽을 시게코한테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노릇이었습니다.

p 134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것.
제가 지금가지 아비규환으로 살아온 소위 ‘인간‘의 세계에서 단 한가지 진리처럼 느껴지는 것은 그것뿐입니다.
모든 것은 그저 지나갈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