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네이티브 - 역사상 가장 똑똑한 세대가 움직이는 새로운 세상
돈 탭스코트 지음, 이진원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난 X세대다.
내가 갓 대학생활을 시작할때, 처음 X세대란 말이 나왔었고, 온갖 언론에서는 기존과는 다른세대, 기존을 거부하는 세대로서 X세대를 부각시켰고, 나를 포함한 당시 또래는 X세대라는 틀속에서 억울하게 분석되고 규정지어졌다.
하지만 지금 기억에도 그때 당시 대부분의 우리 또래들은 스스로에 대해 X세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X세대란 말 만들기 좋아하는 사람들과, 마케팅에 이용해 먹으려는 사람들의 상술정도로 여겨졌던게 사실이다.
그런데 여기 X세대를 넘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등장했다.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를 사용한세대.
저자는 현재의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그들의 신기술에 대한 수용능력, 개방성, 협조 지향, 문제해결력 등이 보다 조화로운 세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 어쩌면 현재의 디지털 세대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항변이라 할 수도 있겠다.
나 역시 일견 저자의 견해에 동의하면서도 우려되는 부분은 아래와 같다.
첫째, 어떤 세대를 규정짓는것 자체가 그들을 어떤 틀속에 가둘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어떤 세대가 경향을 가지고 변해갈 수는 있지만, 사실 그 세대간 변화폭보다는 한 세대내에서의 차이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특히 개인적인 성향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그런데도 현 세대는 모두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고, 한꺼번에 여러가지 기기를 동시에 이용하면서도,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은 능숙하게 해내며, SNS등을 이용하여 수많은 친구들과 교류하는 지극히 외향적인 슈퍼맨 정도로 규정짓는 것은 그렇지 못한 다수를 너무 쉽게 소외시킬 수 있다.
여전히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못한 아이들도 많이 존재하며, 디지털 기기를 통해 쉽게 친구를 사귀는 아이도 있고, 그렇지 못한 아이도 존재하기 마련이다.
우리 아들의 사례로 보자면 이제 갓 초등학교에 입학하였는데, 수많은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고, 또 인터넷으로 친구를 쉽게 사귀곤 하여 위에서 언급한 전형적인 디지털 세대로 보이나, 현실에서는 오히려 친구 만나기를 매우 수줍어하곤 한다. 디지털 세계에서의 성향이 현실로 직접 이어진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이를 통해 세대를 규정짓는 것 자체가 논리의 비약이다.
둘째, 디지털 네이티브의 긍정적 부분을 부각시키다보니, 반대로 어두운 측면은 너무 간과하지 않았나 싶다.
가령, 신문이라는 매체가 등장해서 정보의 유통이 빨라졌지만, 그 매체가 잘못 이용되었을때 나타나는 폐해를 우린 요즘 너무 자주 목격하고 있다. 또한 신문을 많이 본 세대가 신문을 접하지 못했던 세대에 비해, 훨씬 논리적이고 조화로운 판단을 한다고 섣부르게 이야기 하기는 어렵다.
디지털 매체도 마찬가지다. 인터넷이 활성화 될수록 많은 정보가 유통되고 그로인해 사회 갈등이 줄고 통합될 것으로 보지만, 실제로는 더욱 분파적이고 끼리끼리의 문화가 횡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가령 미국에서도 민주당 지지자들은 공화당 관련 사이트에 거의 접속하지 않고, 공화당 지지자들은 민주당 사이트에 거의 접속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다보니 자기들끼리만의 정보가 극대화되고, 점점 중도적인 사람들이 사라져 시간이 지날수록 양 극단 지지자로 쏠리게 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즉 빠른 정보의 유통이 사회 통합을 촉진시키기보다는 사람들을 극단화시켜 분열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위 이외에도 디지털과 관련된 문제점은 이미 많이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저자는 그런 문제점들을 너무 쉽게 단기간에 없어질 문제 수준으로 인식하지 않았나 한다.
물론 새로 성장하는 세대를 따뜻한 눈으로 바라보고, 긍정적인 부분을 지지해 주려는 저자의 시각에는 고마움을 느끼나, 기본적으로 이세대는 이렇다라는 식의 규정에는 동의하기 어렵고, 또한 긍정적 시각속에 문제점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이 녹아있기를 바랬으나, 그런 부분은 언급되어 있지 않아 균형잡인 책으로 소개하기는 어렵겠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