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ㅣ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엔 '긍정주의'가 미덕을 넘어 절대선의 경지에 이른 것 같다.
꿈꾸는 다락방, 시크릿, 긍정의 힘 등 책들이 크게 유행하고, 마음만 바꿔 먹고 자신이 꿈꾸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면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세상을 다 내 맘대로 바꿔버릴 수 있다는 "끌어당김의 법칙"이 과학인마냥 포장되서 유통된다.
이는 기도만 열심히하면 하나님이 차도 사주시고, 교회 건축할 벽돌값도 내주시고,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신다는 어느 목사님의 설교 말씀과 맞닿아있다.
지금 사는게 어렵고 힘든 것은 믿음이 부족해서라는 목사님의 말씀처럼, 긍정주의는 현재의 어려움을 긍정적 사고의 부족으로 원인을 돌리고, 결국 개인의 내면의 문제로 귀결시켜 버린다.
사는 것이 어렵고 역경에 처할때 종교에 매달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삶이 팍팍해지고 마음속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긍정주의에 매달리게 된다.
일상적인 구조조정, 치열한 경쟁에서 오는 스트레스,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로 긍정주의가 분명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회사생활에 지치고, 마음이 피폐하다고 느껴질때 자기계발서로 포장된 긍정주의 책을 읽고 마음의 위안을 받은 이가 비단 나만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런 류의 긍정주의 책은 마음의 타이레놀이나 아스피린이 아닐까 한다. 타이레놀이나 아스피린이 병의 원인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그 증상을 완화해 주듯 이러한 책 역시 현실의 어려움을 잠시 잊고 우울증을 완화해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타이레놀과 아스피린만 먹으면 아주 건강해지고, 모든 병을 다 낫게 하는 만병통치약이라고 믿고 먹게 되면 실제 큰 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기회를 놓쳐 자칫 목숨을 잃게 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긍정주의가 모든 어려움을 해결해준다는 믿음은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 기능을 마비시키고 결국 파국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 저자가 우려하는 바다.
911테러부터, 2008년의 금융위기 등이 그러한 실례이다.
더구나 이러한 긍정주의 이데올로기가 가진자의 이익에 봉사하기 위해 조작되고 계획적으로 보급되어, 더 열악한 환경에서도 현실에 눈감고 조직원의 충성을 이끌어내는데 사용된다면 그 폐해는 더욱 커질 것이다.
저자는 긍정적 사고가 아니라, 현실에 대한 철저한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인류가 많은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현재까지 생존한 것은 긍정적 사고가 아니라, 항상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위험을 제거해 나간 비판적 사고의 덕분이라는 것이다.
격하게 동감하는 부분이다.
긍정적인 편향이든 부정적인 편향이든 편향적 사고는 Risk를 확대시킬 뿐일 것이다.
'진정한 성공'을 원하는 이라면 '꿈꾸는 다락방'보다는 이 책을 적극 권한다.
P.S.
긍정적 마음자세만 가지면 모든걸 얻을 수 있다면 왜 이세상 모든 사람이 긍정적이지 않을까?
진화론적으로 볼때 긍정적 사고를 가진 사람이 성공한다면, 긍정적 사고를 가진 사람은 번성하여 후손을 많이 남길 것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재산도 얻지 못하고 자손도 적게 얻을 것이므로 결국 세상은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의 후손만 남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은 긍정적인 사람보다는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이것은 오히려 긍정적 사고가 생존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현실을 무시하고 낙관하는 태도는 문제에 대한 민감도를 떨어뜨리고 말 그대로 명을 재촉할 수도 있다.
현실의 실제 문제를 부차적인 문제로 치부하는 현재의 긍정주의의 태도에 저자는 너무나도 당연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문제제기가 매우 신선하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 사회가 긍정주의에 그만큼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