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종지부를 찍은 사람들‘은 바로 평범한 얼굴의 모든 사람입니다. - P89

세상은 언제나 포장지 없는 날것으로 우리에게 비극을 보여주지만 소설이 그 날것을 거울처럼 옮겨 적는 일은 늘 불허되었습니다. 토니 모리슨의 글은 그 날것을 바라보게 해주는 창窓과 같은 기능을 했습니다. - P97

"자유가 무엇인가를 의미한다면 그것은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지 않는 것을 말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 조지 오웰 - - P3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편엽서
안느 브레스트 지음, 이수진 옮김 / 사유와공감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홀로코스트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는 역사적 사건이다. 이 비극적인 사건 속에는 희생되었던 사람들만큼의 이야기가 있다. 라비노비치 가족도 그 중 하나이다.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일지도 모르는 이 소설은 2003년 1월의 어느 날 아침 익명으로 배달된 한 통의 우편엽서로 인해 시작된다.

라비노비치 가족은 러시아를 떠나 마침내 프랑스에 정착하고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발버둥치지만 결국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건 죽음의 수용소로 가는 기차였다. (1부는 읽기가 좀 힘들었는데) 프랑스 시민이 되기만하면 안전할거라 믿고 가족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모두를 위험에 빠뜨린 에브라임 때문에 답답하고 화가 났다.
(수용소에 이송된 무리에는 어린아이들과 갓난아기도 있었는데 아이들에게 줄 물과 음식을 달라는 요구에 취해진 조치는 철조망을 더 ‘촘촘히‘ 설치하는 것이었다. 몸집이 작은 아이들이 철조망 사이로 도망치면 안되니까)

전쟁은 여전히 우리 주위에 있고 한 세기가 지난 지금도 혐오와 차별은 도처에서 일상으로 침범한다. 나와는 상관없을거라는 안도감과 무관심으로 살아도 괜찮을까? 이렇게 들여다보면 전쟁이라는 거대한 사건이 너무나 개인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허구다.˝라는 작가의 설명을 들어도 어디까지가 실제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인지를 모르겠다는게 문제였다. 첫 번째 단편을 읽을 때까지도 다 사실을 적은거 아닌가 했다는.. 가장 재밌게 읽은건 ‘슈바르츠실트 특이점‘이고 표제작인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도 흥미로웠다. 슈바르츠실트가 전장의 포탄속에서 이 특이점을 발견했을 때 ˝이거 블랙홀 아냐?˝라며 덩달아 흥분했었다.
양자역학에 대해 알고싶어서 이것저것 찾아봤던 시기가 있었는데 ‘우리가 이 세상을...‘을 읽고 그때 봤던 영상들을 아주 조금은 더 이해하게 되지 않았을까.(과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남편
모드 방튀라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나)이 남편에게 집착하는 수준은 광기에 가깝다. 남편이 레스토랑에서 (평소와는 다르게) 라사냐를 시켰기 때문에 울고, 부부모임에선 나를 귤에 비유했기 때문에 세상이 무너진다. 남편이 자신에게 상처줄 때마다 징벌 노트에 적어놓고 나름의 징벌을 가하지만, 그것 또한 다분히 자기 파괴적이다.
더 사랑하는 쪽이 약자인건 맞는데 은은하게 돌아있는 약자인데다 남편도 만만찮은 도른자였다. 세상에 쉬운 관계는 없구나.

˝내 남편에게는 이제 이름이 없다. 그는 내 남편이다. 그는 나에게 속해있다.˝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처럼 읽는 법
에린 M. 푸시먼 지음, 김경애 옮김 / 더난출판사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잘 쓰기 위한 읽기‘에 관한 내용인데 오랜만에 유익한 수업을 듣는 기분이었고, 글을 쓸 때도 참고해야겠다. (예를들면 부사의 남용이나 상투적인 표현에 주의하는 것) 책을 읽을 때 오독을 두려워하지 말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자유로운 것도 아니라서 작가처럼 쓰지는 못해도 비판적인 읽기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