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여신을 찾아서 - 융 심리학으로 읽는 자기 발견의 여정
모린 머독 지음, 고연수 옮김 / 교양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받았다그램
#내안의여신을찾아서
#융심리학으로읽는자기발견의여정
#모린머독
#고연수옮김
#교양인출판사
#30주년기념개정판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았습니다.

🌈 '성공'이라는 메커니즘에 깔린 남성성

'성공'이라는 단어에는 추진력, 부, 권력이란 단어가 떠 오른다. 육아, 보살핌이라는 말은 떠오르지 않는다. 즉 여성이 '성공'이라는 길을 가기 위해 벌이는 사투에는 그 내면에 육아에 대한 미안함, 자괴감이 동반한다. 왜 그럴까? 우리 사회에서는 육아에 관해서는 '엄마'의 역할이 제일 중요하다는 사회적인 암묵적인 동의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사회는 어머니라는 자리에 엄청난 책임을 지우지만, 어머니들에게 그에 합당한 재정적인 지원을 하거나, 권위를 세워주거나 갈채롤 보내지 않는다."(p47)

신화에서 영웅들은 자신만의 길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난다. 괴물을 만나고 물리치고 길을 잃기도 하지만 다시 극복하며 모험에 스릴을 겸하며 목표를 이루고 귀환한다. 하지만 그 안에 여성은 없다. 여성은 집에서 얌전히 기다려야만 한다. 신화를 재미나게 읽지만 그안에 닮고 싶고 멋진 여성의 원형은 극히 드물다. 여성들은 자신만의 멋진 삶을 꿈꾸며 여성성을 버리고 남성성을 취하게 된다.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여자아이들은 여성이 열등한 존재라는 신화를 내면화 왔다."(p55)

🌈 나도 모르게 받아왔던 피해의식

"수세기 동안 여성들은 '히스테리'를 부리지 말라는 말을 들어왔다. 어떤 것을 강렬하게 느끼면 열정적으로 몰두한다는 칭찬 대신 호들갑스럽다는 말을 듣고, 화를 내며 불만을 표현하며 자제력을 잃었다는 말을 듣는다."(p235)

"오늘날 낙태 문제를 놓고 벌이는 뜨거운 논쟁이 분명하게 증명하듯이 여성의 몸은 공공의 영역이다."(p228)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고 억눌렀어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굳이 평지풍파를 일으키고 싶지 않았어요"(p234)

🌈 변화는 일어나고 있으나 속도는 느리다.

가부장적 신화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가기 위해 애쓰지만 자신의 내면에서 울리는 자기의심, 자기혐오에 힘들어 한다. 이상적인 배우자(반신반인)를 만나면 모든 힘듦이 사라질거라는 기대를 저버리기 힘들다. 하지만

"여성영웅은 자신의 배우자에게서 신화성을 없애고 자신의 인생에서 책임감을 되찾는 용기를 내야 한다. 스스로 어려운 결정을 하고 자율성을 획득해야 한다."(p128)

또는 자신 내면의 남성성에 휘둘려 탈진하기 까지 자기 자신을 혹사 시킨다.

"여성들이 한 번도 충분한 적이 없다고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특히 어린 자녀가 있을 경우에는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 일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시간은 부족하고 사람의 힘에는 한계가 있는데 많은 여성들은 자시의 한계를 인정하기 싫어하고, 거절하기를 어려워한다."(p143)


🌈 머린 머독이 제시하는 여성영웅

영웅의 의미는 다시 재정비 되어야 한다. 영웅이 힘에 의해 자신을 증명하는 것이 아닌 모두가 여성 영웅이 될 수 있는 "평범하지만 신성한" 각 고유의 존재자

"행위(doing) 대신에 존재함(doing)에 관해 알아내는 것은 여성성의 신성한 책무이다.(중략)존재함은 자신을 증명하려고 무엇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에 머무르면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p249)

🌈 새로운 신화는 지금도 써지고 있다. 내 안의 여신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