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 국가는 영원히 세워질 수 없으니

그 개념 안에 모순이 있기 때문이라고.

만약 국가를 세운다면 -

그 나라는 유대적이지 않을 것이며,

그것이 유대적이라면 -

분명히 국가가 아닐 것이라고 말일세.

유다 p63

🏷작가 아모스 오즈

이스라엘의 작가이자 언론인, 15살에 키부츠(이스라엘만 있는 공동생활처)에 들어가면서 원래 성인 클라우스너를 오즈(힘을 의미)로 바꾸었다. 오즈는 이스라엘에서 현재 히브리어를 사용한 첫 세대로 불린다. 1965년 <자칼의 울음소리>를 시작으로 작가 활동 시작, 1968년 <나의 미카엘>이 전세계적으로 인정 받으며 현대 히브리 문학의 거장으로 불린다. 2018년 영면까지 꾸준히 노벨문학상 후보에 거론된 작가이다. 이스라엘 작가이지만 조국의 부흥과 아랍 국가들의 평화 공존을 주장했던 침묵하지 않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옮김이 최창모

대학과 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예루사렘 히브리 대하게서 신구약 중간사, 유대 묵시문학, 유대-기독교 비교 연구를 했다. 아모으 오즈의 주요 소설 4권을 우리말로 번역했으며 이 유다를 번역하면서도 아모스 오즈가 죽기 전까지 많은 서신 왕래로 정확한 번역을 하려 노력했다. 유다의 457페이지에서 506페이지의 50페이지 정도 이 책에 대한 각주를 붙힘으로서 이 책의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1959년 말에서 1960년

초 겨울에 있었던 이야기다.

유다의 첫 문장

📖

슈무엘 아쉬는 사랑에 실패하고 천식을 가지고 있는 다부진 몸에 수염을 기른 스물 다섯살의 소심하고 감상적인 사회주의자이다. 대학에서의 논문으로 <유대인의 눈에 비친 예수>를 완성하지 못한채 학업을 중단한 그는 부친의 사업 실패로 경제적 상황마저 어렵게 된 형편이었다.

예루살렘을 떠나 멀리서 직장을 구하려고 찾던 중 지적인 말동무를 찾는 70대의 장애인 남성인 발드의 광고를 보고 지원하게 된다. 발드는 장애를 가지고 있으나 백발의 자신의 운신은 자신이 혼자 하려고 하며 역사와, 종교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슈무엘 아쉬와 약간의 썸처럼 그러지는 인물 발드의 며느리 아탈리아 사이가 나온다. 이 책의 핵심 인물인 유다와 현재의 유대로 비교 될 수 있는 아탈리야 아브라바넬의 딸이다.


"됐네, 됐어, 누가 그런 천박한 이야기를 들어 줄 수 있겠나, 나는 자네에게 유대인들의 눈에 비친 예수는 어떤 모습인지 말해 달라고 했지 온갖 어리석은 자들이 그에 관해 뭐라고 했는 알려 달라고 부탁한 것은 아니네."

유다 p70

슈무엘 아쉬와 발드를 통해 오가는 나사렛 예수의 이야기


그 무화과 나무가 당장 열매를 맺도록 할 수는 없었을까?

유다 p83

유대인들의 눈에 비친 예수는 평범한 '유대인'일 뿐, 그를 신으로 만든 사람은 바울과 유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펼쳐지는 "배신자" 가롯 유다의 이야기....

배신자가 있었으므로 해서 기독교가 완성되어질 수 있었다고 보는 견해를 현대의 이스라엘 역사에 빗대어 이야기 하고 싶어 한다.


그 안에 변화할 의지가 있는 사람은,

어떤 변화도 인정할 수 없고

변화가 생기는 것을 죽을 만큼 무서워하며

변화를 이해하지못하고 변화를 혐오하는 사람들 눈에는

언제나 배신자로 간주될 수 밖에 없어요.

쉐알티엘 아브라바넬은 아름다운 꿈을 꾸었고,

그의 꿈 때문에 그들이 그를 배신자라고 부른 거예요

유다 p374

📜

읽기가 쉽지 않은 책이었다. 각주가 없었더라면 헛다리 짚으며 읽어 나가지 않았을까 한다. 내가 아는 이스라엘의 반대면을 보는 듯한 이야기, 그리고 더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었던 유대인들의 예수님에 대한 시각과 기독교를 바라보는 관점을 알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유용하고 아모스 오즈의 다른 책도 구매해 보고 싶다.

*이 책은 출판사 지원으로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