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메어 앨리 스토리콜렉터 91
윌리엄 린지 그레셤 지음, 유소영 옮김 / 북로드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탠 칼라일은 천막 입구에서 여유 있게 떨어져 선 채
환히 불을 밝힌 알전구 밑에서 기인을 바라보았다.
나이트메어 앨리 첫문장

사전 정보 없이 읽기 시작한 <나이트메어 앨리>는 작가에 대한 설명을 읽는 시작부터 그의 내면의 고통이 느껴졌다. 윌리엄 린지 그레셤은 20대 후반에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얻어 먹기 위해 닭의 모가지나 뱀의 머리를 입으로 물어 뜯는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그 이야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많은 종교와 오컬트적인 공부? 그리고 정신세계에 대해 공부했다고 한다. 타로도 역시 그의 관심사였다.

그래서일까? 그의 가장 출세작이면서 그를 나락으로 떨어뜨린 책이 <나이트메어 앨리>라고 한다.


이 책은 타로카드를 한장씩 제시하면서 총 22개의 타로카드와 이야기가 펼쳐진다. <바보> 타로 카드로 시작해서 <매달린 남자>로 끝을 낸다.

잘생긴 스탠(영화에서는 브레들리 쿠퍼가 역을 맡았다고 한다.)은 카니발 유랑극단의 마술무대를 맡고 있다. 영리한 그는 독심술이란 것을 알게 되고 그것을 이용해서 자신의 욕망을 키워나간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음산하고 오래된 녹슨 철가방에서 빨간 녹슨 물이 저벅저벅 흘러내리는 느낌으로 책이 읽혀졌다. 딱히 무서운것 같지 않치만 왠지 두통수가 찌릿찌릿한 기분... 책에서 읽혀지는 공포와 나의 공포가 겹쳐지지는 않치만 현실의 어느 점에서 나의 공포가 펼쳐질것 같은 기분이었다.


몰리가 아버지로부터 좋은 남자를 고르는 방법의 예시로 남자가 자기 칫솔을 사용하게 해주는 남자는 믿을만 한 남자라고 피력하는 부분에서는 나도 모르게 뻥 터지게 웃기도 했지만 이야기가 끝을 향해 갈수록 인간의 마음속에 꿈틀거리는 그것은 시대가 변해도 똑같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나아지는 삶이라는 기대로 살아감은 누구에게나 주어진 선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잼나게 읽었다.

아마 영화가 개봉되어진다면 어떤 장면은 손으로 가리고 보겠지만(보나마나 기인장면) 어떻게 연출했을지 기대하면서 극장으로 달려갈 것 같다.

* 이 책은 출판사 지원으로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