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해, 고3 독서시간에 ‘양성성’에 대한 글을 설명하기 위해 도움을 받았던 정희진의 『페미니즘의 도전』을 다시 꺼내들었다.  ‘탈근대’ 한국사회에서 가장 첨예한 감각과 위치를 가진 필자로 주목할 만한 정희진의 글이기에 관심이 갔지만 수업준비용으로 어설프게 넘겨보기만 한 기억 때문에 마음의 빚을 진 것 같아서 이번엔 더욱 눈길을 콕콕 찍어가며 읽었다. 

 저자의 후기에도 제목에 대한 아쉬움이 담겨 있었는데 처음엔 나 또한 ‘페미니즘+도전’에 겁을 먹었다가 그다지 도전적이지 않은 느낌을 받아서 실망할 뻔 했다. 하지만 한 장 한 장 읽어낼수록 저자가 간절히 바라는 담론의 변화들이 가부장적 남성 주체들에게는 충분히 ‘도전’이 될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희진은 ‘여성은 여성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 여성들은 계급, 인종, 민족, 나이, 장애 여부, 동성애자냐 이성애자냐 등의 성정체성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억압을 경험한다.’ 말한다. 그리고 그런 다양한 사회적 모순을 횡단해야만 하는 페미니즘의 담론을 제시한다. 가부장적 남성 주체들이 어떻게 여성의 성을 사적으로 소유하고 자유를 침해하고 비정치적인 담론으로 묶어두고 있는지를 까발린다. 저자가 하나하나씩 펼쳐 보여주는 담론의 모순들에 눈에 맞지 않은 렌즈를 바꿔 낀 양 어지럽고 생경하다. 그러나 이내 보이지 않았던 세계가 선명하게 날것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아 시원하다.

 여중, 여고를 나왔고 은사님들 영향으로 페미니즘에 대해 비교적 일찍 사유할 수 있었지만 가난한 시골 농부의 딸(진부하다)의 전형적인 패턴대로 착한 딸, 착한 여자 콤플렉스를 갖고 있던 내가 온전히 내 욕망을 드러낼 수 있었던 건 대학교 3학년 즈음이었다. 그건 자연스러운 성장은 아니었다. 아들 사랑이 남다른 부모님 영향으로 오빠와 남동생을 위해 희생이 몸에 배어버릴 정도가 되어 도시의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것도 포기하고 대학도 첫 등록금만 겨우 받아 모든 생활을 혼자 꾸려나가다 결국엔 이리저리 파탄이 나고 나서야 정신이 차려진 결과였다.

 그즈음 영미희곡 수업시간에 접한, Ntozake Shange의 〈For Colored Girls Who Have Considered Suicide When the Rainbow Is Enuf>은 커다란 충격으로 다가왔다. 여성의 문제가 단지 남녀의 문제가 아니라 계급, 인종 등 다양한 정치적 문제와 결부되어 있음을 처음 알게 된 것이다. 가난한 흑인 여자 아이는 빈부, 인종, 연령, 젠더의 영역에서 차별받고 고통받다 결국엔 자살이라는 극단에 이르게 된다. 흑인 남성은 사회․정치적으로 배제된 자신의 정체성을 가정이라는 자신의 사적(?) 공간에서 회복하고자 폭력을 휘두른다. 가정은 여성에게 사적 공간이 아니라 가장 정치적인 공간이 된다는 정희진의 말에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책의 논제들 중에 흥미로웠던 것은 여성의 성 피해가 일제 시대 ‘군 위안부’ 문제와 같이 민족주의의 이해와 일치할 때에만 겨우 가시화되는 것과 가정을 사적 공간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생활 세계를 식민화’하여 가정 내 폭력에 국가가 개입하지 않는 것 등에 대한 필자의 일침이었다. ‘이제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정치적 상상력과 언어’가 다가왔다. 그리고 이내 다르게 보이더라.

 수원에서 일어난 끔찍한 살인 사건에 온 나라가(특히 경찰) 시끌벅적하다. 범행의 참혹함이 더욱 여론을 자극한 거겠지만 좋은 빌미가 된 것이 범인이 조선족이다는 게 아니었을까 싶다. 댓글들 대부분이 몇 점으로 토막냈는지와 다문화주의를 반대하는 내용이다. 112 신고센터의 녹취록에선 여성의 끔찍한 비명소리를 듣고도 경찰들이 “아는 사람 같은데?”, “부부싸움 같은데...”라 말한다. 부부싸움이라는 사적 공간이면 여지없이 시시하고 사소한 일이 되어버리는 성폭행...

 필자의 말처럼 기존의 언어로는 여성 문제에 접근할 수가 없다. 새로운 언어가 절실히 필요하다. 새로운 담론을 담아낼 수 있는 언어를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같이 공유하고 소통해야한다. 그것이 진정한 양성평등이 될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지배 이데올로기나 대중매체에서 떠드는 것 이상을 알기 어렵다. 알려는 노력, 세상에 대한 애정과 고뇌를 유보하는 그 순간부터 우리는 타인에게 상처를 준다. 한나 아렌트가 말했듯이, 사유하지 않음, 이것이 바로 폭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혁명은 이렇게 조용히 - 88만원세대 새판짜기
우석훈 지음 / 레디앙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8만원 세대>에게 희망을 발견하고자 하는 저자의 애정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출판에 즈음하여 열린 연세대 강연에서 명랑 경제학자 우석훈이 보여준 긍정의 힘이 책에도 그대로 남아 있다. 쯤의 시장을 맹렬히 공격하는 기업의 마케팅 속에서 그저 착취와 수탈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는 오늘날 20대에게 우석훈의 한마디 한마디가 얼마만큼의 위력을 드러낼지는 (나는 아직 20대에게서 희망을 보지 못했으므로...) 아직 모르지만,  그의 외침 때문에 이제 막 30대에 접어든 내가 20대에 대한 연대를 꿈꾸게 됐으므로 그것만으로도 20대에게 그의 존재는 그 자체로 희망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