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데미트 (Paul Hindemith, 1895-1963)는 20세기 작곡가로 드물게 음악가와 청중의 소통, 음악가의 사회적 책임등을 강조한 작곡가였다. 대부분의 현대음악가들이 자신의 음악을 청중들로부터 이해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이른바 '초월'하고 청중을 신경쓰는 것은 저급한 상술이라고 비난까지해 (쇤베르크, 스트라빈스키) 했던데 반해 힌데미트는, 작곡가도 청중도 서로를 향해 마음을 열고 한 걸음씩 다가가는 것이 연주회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렇기때문에 연주회라는 공간은 다소 불편하다. 자기 주장만 해선 안되기 때문이다. 이 불편함을 최대한 이용해서 서로에게 다가가는 것이 옳다고 힌데미트는 믿었다. 내겐 이 말이 참 감동이고 설득력있다.

젊었을때 잠깐은 전위적인 곡을 써서 독일 아방가르드 선두에 있었으나, 드뷔시의 죽음 (1918)을 계기로 그의 음악적 입장이 바뀌었다. 한 음악가의 죽음, 그가 남긴 아름다움, 음악의 숭고함 등을 느끼고는 음악이 새로움을 보다는 고귀한 예술을 추구해야한다며 옛재료를 사용하는걸 꺼리지 않고 완성도 높고 깊이있는 작품을 만들려고 애썼다. 새로운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이 큰 목적이었던 20세기 전반 조류에 그는 휩쓸리지 않았다.

독일인이였지만 오페라 화가 마티스의 반나치 색채 등을 이유로 나치의 미움을 받아 1940년 미국으로 망명한다. 쇤베르크는 1933년, 스트라빈스키는 1939년에 각각 미국으로 망명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