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한지 10 - 유방의 반격 ㅣ 초한지 10
요코야마 미츠테루 글.그림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2년 10월
평점 :
[2권]부터 [9권]까지에 대한 리뷰와 마찬가지로, 아래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은 초한지 [1권]에 썼던 리뷰(http://blog.aladin.co.kr/overmask/7878718)를 그대로 옮겨
왔고, 이후 [10권]에 대한 리뷰를 새로 써 붙였다.
[요코야마 미츠테루, 초한지 총평]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역사만화를 보다 보면 고우영 선생과 비교하게 된다. 고선생의
만화가 대담하면서도 골계미를 뿜고 있다면, 요코야마 씨의 만화는 담담하고 겸손하다. 어느 쪽이 더 낫다는 평은 무의미하다.
초한지는 중국 민족신화의 시작이라고도 볼 수 있는 한나라의 탄생을 다루고
있다(중국민족은 스스로를 "한족"이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점을 다루고 있으나, 막상 후대에 쓰여진 [초한지]라는 소설은 다소 유치하고
말이 안 되는 부분도 많다. 역설적으로 그 때문에 초한지는 후대의 작가 또는 역자가 자유로이 개입하기도 좋고, 개작의 유혹도 있을 수
있다. 실제 이문열은 초한지를 다루다가 사실상 이 시기를 다룬 새로운 소설을 쓰기도 했다(관심 있게 본다면 이문열의 이름으로 발간된
[초한지]에서 이문열은 "역자"도 "평역자"도 아닌 "저자"임을 알 수 있다. 새로 쓴다면 이 정도는 써야 한다).
요코야마는 그냥 자기 스타일대로 담담하고 겸손하게 그려 나간다. 초한지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순서대로 성실히 그려 보여주며, 조금 억지스럽거나 말이 안 되더라도 그랬다더라고
그냥 진도를 나간다. 그만의 매력이라고도 볼 수 있다.
[10권]
반간계가 성공하여 항우는 범증을 내치게 되고, 고령의 범증은 급사한다. 그러나 범증의 죽음만으로 대세를 돌이킬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던 듯하다. 여전히 유방은 쫓기고 있다. 대역을 내세워 형양성을 탈주하고 성고성에 갇힌다. 유방의 목숨이 경각에 달린 때 항우는 다시 철군하게 되고, 유방은 성고도 내어주고 수무에서 한신과 합류한다.
이즈음 드디어 흐름이 바뀌기 시작한다.
팽월은 배후의 양(오늘의 산둥)을 공격하고 유방은 손쉽게 성고와 형양을 탈환하여 중원을 지킨다. 한신은 주력을 유방에게 내어주고도 다시 군대를 양성하여 제를 공격한다.
흐름이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형양과 성고는 요충지이다. 그런데 유방의 본거지와는 가깝고 항우의 본거지와는 너무 멀다. 항우는 주력을 끌고 와서 유방을 몰아부쳤지만 끝내 유방은 버텨냈고, 그 사이 항우의 후방은 헐거워졌다. 왕릉의 위협과 팽월의 공격에 흔들릴 정도였다. 후방을 지키려 주력을 물리자 곧바로 중원을 다시 유방에 내어주게 된다. 결국 항우가 유방을 정말 잡으려 했다면 중원에 더 가까이 본거지를 이동하고 싸웠어야 한다. 그것이 아니라면 나라를 풍요롭게 하여 후방을 튼튼히 한 후 양병하여 군세를 일으켜 원정을 나서야 했다(유방은 실제로 항우를 그렇게 잡는다). 그러나 항우는 여전히 혼자 힘으로 좌충우돌하고 있다.
군사적인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유방이 민심을 얻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형양을 내어주는 과정에서 그 동안 이름 없던 장군들이 숭고하게 목숨을 바친다. 외황성에서의 일화는 구숙의 천재를 드러내고 있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민들의 마음이 이미 유방에게 기울었음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아직도 항우는 장군들을 삶고 성민들을 땅에 묻겠노라 위협한다.
위협하는 자 앞에서 사람들은 죽거나 고개를 숙이지만, 어떤 위세를 떨치는 사람도 등 뒤에 눈이 달려 있지는 못하다. 그가 고개를 돌리는 순간 그들은 고개를 다시 들고 살아남은 이들을 추스려 후일을 도모한다.
한편 한신은 역이기와 공을 다투다 역이기를 희생시켜가면서까지 제를 얻는다.
초한지에서 한신의 행보는 다소 모호한 부분이 많다. 그는 어느 정도까지 야심을 가진 자였을까? 흔히 묘사되듯 전쟁의 신이면서 정치적으로는 미숙한, 그래서 괴통의 혀에 우유부단을 겪는 사람이었을까? 제를 얻고 삼국을 정립할 생각은 전혀 그의 것이 아니었을까?
그러나 드러난 것만으로 보자면 그는 유방의 뜻을 거슬러 실각하기도 하고 복귀지시에 불응하기도 하며 유방이 어려운 때 달려오지도 않았고 역이기가 죽을 것을 알면서 자신의 장기인 군사로 제를 제압하고 그에 대한 지분을 요구했다.
그렇게 초한지는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한신의 운명 역시, 그 스스로 알지 모르겠지만,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