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뭐해?
권복기 외 지음 / 이프(if)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아버지'와 다르게 살고 싶은 '아빠'들의 새로운 육아 이야기, 라는 부제가 붙은 책. IF에서 펴낸 아빠들의 육아일기이다. 별 생각없이 집어들었는데 의외로 재미가 쏠쏠하다.

 아빠의 육아일기라는 흔치 않은 썰을 풀어낼 수 있는 필자들이니 이들이 가부장적 사고나 보수적인 성역할 분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남성들일 거라는 건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중 대부분의 아빠들이 상당한 수준의 교육을 받고 언론이나 출판, 교육계나 시민단체 등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어느 글인가에 나오는 표현대로 '가정을 잘 돌보지 않고 아주 가끔 집에 와서 처자에게 한두 마디 던지고는 어디론가 홀연히 사라져버리는' 우리 사회 절대다수의 "독립군" 아버지와는 꽤 거리가 있는 이들이란 거다.

 그렇다고, 여성잡지에 가끔 등장하며 이땅의 힘겨운 아주머니들에게 신종 판타지를 제공하는 기사들처럼 환상적인 가사, 육아참여 게다가 상당한 애처가 노릇까지 하는 그런 아빠들은 아니다. 오히려 책을 읽다보면, 이런 육아일기까지 쓸 정도의 사람들조차 얼마나 가부정적 이데올로기에 장악당해 있는가, 가사나 육아를 몸으로 자기것으로 만든다는 것이 남성에게 얼마나 요원한 일인가를 절절하게 읽어낼 수 있다. 아마도 육아에 참여하는 정도로는 대한민국 5%내에 들 이 필자들조차도, 육아나 가사참여에 대한 고민없음, 비자발성과 게으름 등을 내보였고,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극심한 가부장성을 드러내기조차 했던 것이다. (심지어는 아내폭력의 경험을 실토한 필자마저 있었다!) 물론 남성들이 자기 내부의 반동적 경향을 인식하고 고백하는 것 자체가 우리 사회에서 흔치 않은 일이긴 하지만 말이다.

 이 책은, 남성이 페미니스트 (이런 단어가 거북스럽다면, '말로만'말고 '몸으로' 성평등을 구현하는 사람들)가 되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 일인가를 보여주는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한편, 그런 그들이 결혼과 육아를 통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이 글을 쓴 아빠들 중 상당수가 딸을 두거나 딸만 두고 있다는 건 그저 우연에 불과한건지 궁금하다. 딸을 낳은 아빠들은, 딸을 키우다보니 페미니스트가 되어갈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페미니스트란, 머리로만 말로만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몸으로 구현하는, 적어도 구현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말한다.) 어떤 모임에서 가부장적 감수성과 성평등에 대해 발표했다가 "당신, 딸 때문에 그렇게 민감한 거 아니냐?" 하는 경우없는 질문에 그렇다, 그게 뭐 잘못이냐고 따졌다는 권혁범 아빠(대전대 교수, 페미니스트의 시각을 드러내는 칼럼도 꽤 쓰셨다)의 이야기는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아들만 둔 부모들은 아무래도 이해가 관념적인 반면 딸이 있는 사람들은 차별의 언어, 제도, 구조, 공간에 대해 예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데 백번 옳은 말이다.

 하여간 이들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육아일기이면서 인생역정의 발자취이자 자서전이고 아내와의 연애및 결혼생활 보고서이기도 하다. 육아 및 가사에 대한 불참여와 가정일을 방기한 끝에 별거나 이혼 직전까지 갔던 이야기(그 중 IF에 육아일기를 연재하는 분도 있었다. 아 쇼크!), 가족을 소재로한 만화를 그리지만 정작 일 때문에 아이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아내를 집안일에 파묻혀 소진하게 만드는 이야기(비빔툰의 홍승우 작가, 쇼크였다!).. '끝'까지 가고 나면 이들은 고민하고 자신의 생활과 태도를 바꾼다, 그리고 새로운 균형상태를 찾아간다.

 한편 이 아빠들의 글은, 육아일기로서, 아이낳기 키우기라는 본질적 경험의 위대함, 고됨, 아름다움, 기쁨, 슬픔, 행복, 회한, 짜증 등을 다양한 스펙트럼의 글쓰기를 통해 보여준다. 한 인간의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한 아무런 생각도 고민도 준비도 없이 얼렁뚱땅 아빠가 되는 황당함. 조금씩 아이에게 정을 붙이고 아빠와 아이로서 연결되어 있음을 느낀다 (이 단계는, 육아에 제대로 참여를 해야 느낄 수 있다고 아빠들은 이구동성 말한다). 처음 아이가 길 때, 걸을 때의 기쁨. 먹이고 재우고 치우는 것이 전부인 갓난아이 기르기의 짜증스러움, 사람을 기진맥진하게 만드는 고됨. (한 아빠는, 백두대간 종주할 때보다 힘들었다고 한다). 그렇게 품에 안아 키워도, '본격적인 사춘기로 접어들어 아빠 앞에서 갑자기 시무룩하고 수다보다는 침묵으로 일관하는' 딸을 보며 둥지에서 떠나보내야하는 연습을 해야하는 쓸쓸함, 아쉬움.

 나와 나의 '아빠'를 생각하게 된다. 어릴 적의 기억이나 사진을 들여다보면 아빠와 나는 활짝 웃고 수다떨고 장난치고 있다. 그러나, 아마도 고등학교 시절부터인 것 같은데, 서먹해지고 급기야 한때는 '아버지'를 상당히 미워한 적도 있다. 그의 가부장적인 모습들을 발견하게 되고 권위적인 면모들에 반발하고 체계적으로 나자신의 분노를 합리화시키고. 아마도 많은 딸들 아들들이 겪게 되는 일일 것이다. 기성의 체제에 대한 반발과 우리 기성세대의 구체적인, 가장 가까운 현신인 아버지에 대한 반발은 아무래도 같이 겪어가게 된다. 이 책 속의 아빠들도 나와 비슷한 과정을 겪은 경우가 많다. 권위적인 아버지에 대한 반발, 감정적 물리적 단절, 그러다가 아이를 키우면서 자신의 아버지를 역사를 가진 개인으로 바라보게 되고 측은지심으로 조금씩 받아들인다. (이건 '너도 애낳아서 키워보면 다 이해할거다'라는 종류의 언설과는 좀 다르다)

 예전부터 결혼은 안해도, 아이는 못낳아도, 키워는 보겠다는 생각을 품고 있던 터였다. 나 자신도 미숙하고 게으른 인간인데 다른 한 인간을 세상에 내보내겠다는 무모함, 이 책을 보면 나같은 비혼 처자, 총각들만의 두려움은 아닌 듯하다. 이미 아이를 낳아 키우고 있는 아빠들 역시 다를바 없더라. 지금은 그저, 인생에서 가장 본질적인 경험이라는 아이 낳기 키우기를 겪어보고 싶다는 정도지만, 막상 낳아서 키우게 되면 그 느낌은 사뭇 다를 것이다. 이 책은 아직 내게 미지인 육아의 세계를 흘끗 곁눈질할 좋은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출산을 앞둔 부모는 물론,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 결혼을 할 처자, 총각들, 아울러 결혼 생각이 없는 처자 총각들에게도 일독을 권할 만하다. 내가 이만큼 살기 위해, 앞으로 살기 위해 몸으로 겪어내야하는 과정들에 대한 고민을 해볼 수 있다. 꼭 육아가 아니더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