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롭지 않게 넘어간 문제들은 대수롭지 않게 사라졌다.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주기위해서는 그저 평범한 일상이면 족했다. 가장 중요한사랑은 아이의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것이었다.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해가 풀리고
이해가 쌓이고
나의 아버지는


부끄러움을 견디며 오늘을 살 수 있는 것은 그나마 내가 반성할 줄 아는 인간인 덕분이다.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흔히 사랑 없이 남을 대해도 괜찮은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런 경우란 없다. 물체를 대할 때는 사랑 없이도 괜찮다. 사랑이 없어도 나무를 쪼개고 벽돌을 만들고 철을 벼릴 수 있지만, 사람을 대할 때는 사랑이 꼭 있어야 하고, 이것은 마치 꿀벌을 대할 때 함부로 해선 안 되는 것과 같다. 함부로 대하면 꿀벌은 당장 해치려 달려든다. 그것이 꿀벌의 본성이다.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른 방식으로 대체할 수도 없다. 서로에 대한 사랑이 삶의 근본원칙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억지로 일할 수는 있지만, 억지로 타인을사랑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사랑 없이 사람을 대해도 된다는 결론을 내려서는 안 된다. 타인에게 뭔가를 요구할 때는 더더욱 그렇다.
타인에게 사랑을 느끼지 못할 때는 가만히 앉아 자신을 되돌아보거나 뭐든 하고 싶은 일을 해도 되지만, 사람을 대하는 것은 하지 않는것이 좋다. 음식은 배고플 때 먹어야 해롭지 않고 유익하듯이 사람을대하는 것도 오직 사랑이 있을 때라야 해롭지 않고 유익하다. 사랑없이 사람을 대하기 시작하면 결국 사람에 대한 잔인함과 냉혹함에한계가 없어지고, 스스로 느끼는 고뇌의 한계도 사라질 것이다. - P3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 살이 되면 Dear 그림책
황인찬 지음, 서수연 그림 / 사계절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일요일 아침 동네를 걸었다. 이전에는 갖가지 꽃들이 봄을 알리는 길을 걸으면 감탄하며 카메라에 담기 바빴다. 그런데 올해는 그 아름다움이 문득 지겹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 또 시작이구나. 또 한 해를 살아내야 하는구나. 봄, 여름, 가을, 겨울... 다시 겨울이 올 때까지 또 긴 한 해를 살아야 하는구나. 한없이 웅크리고 움츠러든 채 가만히 있고 싶은데 싹을 틔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키워내야 하는구나. 이제, 그만하고 싶다.
특별한 일이 있는 건 아니다. 우울한 것도 아니다. 올해는 어느 해보다 더한 생기를 갖고 시작한 해이다. 그런데 덜컥 모든 일이 번거롭다. 백 살까지 이러고 살아야 할까. 백 살이 되면 그저 숨만 쉬며 살아도 되려나. 온갖 생산적인 일을 주문받으며 나를 쥐어짜지 않고 그저 가만 살아도 되는 것일까.
백 살이 되면 이곳이 아닌 다른 곳에 살고 싶다. 이제껏 알던 인연들과는 멀찍이 홀로 고요히 있고 싶다. 백 살이 되면 맑고 고운 것만 보고 듣고 싶다.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떠오르는 대로 움직이고 싶다. 세상 게으르게 볕을 쬐며 온종일 나무늘보와 달팽이와 느림을 나누고 싶다. 이렇게 하나둘 꼽아보니 내가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 어떤 것을 원하는지 보이는 것도 같다. 흠... 어찌 기다리나. 백 살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일을 다시 추려볼 일이다.

<백 살이 되면>, 시 제목만으로도 많은 생각의 물꼬를 틔운다. 그런데 왜 로또가 되면, 방학이 되면, 어딘가에 가면 등이 아니고 백 살이 되면 일까. 하루하루가 백 년의 잠이 필요할 만큼 고단하기 때문일까.
시 제목뿐 아니라 표지 그림도 참 좋다. 더 넘기지 않아도 되겠다 할 정도로 한 장으로 충분하다. 해사한 사람과 마주함에 마음이 무장해제된다. 바람소리, 새소리, 물소리만 들리는 어느 한적한 물가에서 둥둥 떠다니는 나뭇잎사귀라도 된 양 한가롭고 평화롭다. 모든 페이지가 물 흐르듯 자연, 그 자체다.
어느 날은 눈물이 날 것처럼 마음 어딘가를 울리고, 어느 날은 세상 가장 큰 품에 안긴 듯 따뜻하게 감싸고, 백 살이 될 때까지 지니고 있어도 좋을 책이다.

나는 타임머신이 있다면 절대 과거로는 가지 않을 것이다. 지난 세월을 다시 살고 싶지 않다. 무얼 더 잘해 바꾸고픈 욕심도 없다. 껑충 백 살로 건너갔으면 좋겠다. 정말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