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인류가 여러 형태로 살아가는 이유는 어떤 인종이 다른 인종보다 열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인간들이 있다. 사실 나 스스로도 어렸을 때부터 무의식중에 주입받은 그러한 생각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인디언들이 유럽인들에게 정복당한 것이 그들이 열등했기 때문이라거나, 백인들은 흑인들보다 우월하다거나 하는 그런 생각들. 불과 100년전만 해도 흑인을 과연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백인들이 많았다. 죽을때까지 골상학을 연구하며 백인은 태어나기를 우월하게 태어났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했던 학자들의 열정은 우습고 또 슬프게도, 진심이었다.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인류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게 된 것, 이를 테면 왜 유럽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그렇게 쉽게 정복했는지, 왜 아프리카의 과학기술 수준이 유럽에 현저하게 뒤떨어지게 되었는지를 환경의 입장에서 설명해준다. 결국, 그것은 인종의 문제가 아니라 환경의 문제였을 뿐이라고 말이다.
식량의 생산이 가능한 곳에서 인구밀도는 높아지고, 높은 인구밀도는 무기와 병균, 금속을 만들어낸다. 농업의 발생(발달이 아니라 발생자체부터 문제다)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작물화와 가축화가 가능한 야생동식물들의 분포는 대륙에 따라 매우 불균등했으며 그러한 동식물들이 분포된 곳에서 최초의 식량생산이 이뤄졌고, 그들의 언어와 유전자가 현대를 지배하고 있다.
사람들은 환경결정론을 인간의 자유의사와 능력을 무시하는 이론이라고 공박하지만 그것은 적어도 문명이라는 문제에서만큼은 타당하지 못한 것 같다. 한 개인의 생애가 아니라 몇 천년의 세월을 놓고 생각한다면 결국 경향성이라는 측면에서 문명이란 결국 환경에 영향을 받아 태동한 것이라는 점이 쉽게 이해된다. 다만, 같은 조건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중국과 유럽이 달라지게 된 것은 결국 사회적인 조건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물론 이 역시도 인종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 상황과 지리적 조건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저자 역시 증보판 후기에 이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
결국 이 책의 내용을 요약하면,
"인종적, 민족적 차이를 다룬 이론에 대한 완벽한 방어이론이다. 지리학, 식물학, 고고학, 역사학에 두루 접근한 다이아몬드 교수는 인류의 다양성은 역사적 과정의 결과이지 지력(知力)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는 것이다.
저자의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통찰력, 뛰어난 논리에 감탄을 거듭했다. 학자라면 이런 책(영역의 문제가 아닌 관점과 방식, 수준의 문제)을 써야하고, 학생이라면 이런 책을 읽어봐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