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나강의 다리 - 엘리트문고 87
이보 안드리치 지음 / 신원문화사 / 1992년 7월
평점 :
절판


소설의 배경이 되는 드리나 강은 보스니아와 세르비아의 경계선이 되는 강으로, 소설속의 이야기는 이 강을 끼고 있는 비쉐그라드라는 조그만 마을을 무대로 진행된다. 서양과 동양이 이어지고,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를 믿는 이들이 함께 살고 있는 이 곳을 배경으로 역사의 중심무대로 나선 적은 없지만, 그 역사의 흐름을 고스란히 떠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제목에도 등장하는 드리나 강에 놓여있는 다리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다리위에 있는 카피아라는 공간으로, 이곳은 다리 한 가운데 있는 쉼터 같은 공간으로 이 다리 주변에 사는 사람이나, 이 다리를 건너는 사람들이 잠시 쉬면서 커피를 마시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장소이다.

이 다리는 1516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드리나 강이 있는 이 지역은 당시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다.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은 자신의 영토를 유지하기 위해 제국 전체로부터 어린이를 공물로 받는 데브쉬름 제도란 것을 운영하고 있었다. 그 제도에 의해 드리나강을 건너 이스탄불로 끌려갔던 아이 중 한명인 베지르 메메드 파샤는 훗날 명장으로 자신의 이름을 떨치게 되었을 때 어린시절 자신이 건너간 그 강위에 다리를 짓게 된다.

처음 다리가 세워질때는 원성도 많았으나, 긴 세월 끝에 다리가 완성되고 난 뒤 그 다리는 비쉐그라드 사람들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된다. 사람들은 일이 끝나면 다리위의 카피아로 몰려들어 이야기 꽃을 피웠으며, 모든 세상돌아가는 이야기는 이 카피아에서부터 흘러나왔다. 카피아의 모습는 곧 그 시대의 모습이었다. 카피아에 사람들의 이야기꽃이 필때는 호시절이라는 뜻이며, 그 위에 반역자들의 목이 걸리고 병영이 세워지는 시기는 수난의 시절이라는 뜻이었다.

이보 안드리치는 이 카피아를 배경으로 그 위에서 살아간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다리를 만든 장인의 이야기에서부터 이루지 못한 사랑으로 자살하게되는 아름다운 여인, 전설의 장군 뿐만 아니라 그 땅에서 자신의 삶을 누렸던 사람들이 하나둘 이야기 속에 등장했다 사라져간다.

강을 건너는 유일한 수단이었던 다리는, 철도가 놓이고 새로운 경제질서가 자리 잡아감에 따라 점점 쇠락해 간다. 그리고 그 땅에 살았던 사람들도 쇠락해 간다. 오스트리아가 오스만 제국을 물리치고 그 땅을 지배하게 되고, 마침내는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면서 세르비아인들이 무참히 죽임을 당하거나 끌려가게 되고, 그 전쟁의 포화속에서 다리 주변에 살던 사람들도 모두 죽거나 떠나고 다리마저 그 생명을 다하게 된다.

드리나 강의 다리와 함께 살았던 무수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함께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어쩔 수 없이 역사의 흐름에 휩쓸려 사라지는 그들의 운명에 아쉬움을 느끼기도 했다. 그 당시의 역사나 사회상에 대한 무지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있긴 했지만, 긴 세월 그들의 삶과 함께 했던 드리나 강처럼 그저 유유히 그들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넉넉한 시간이었다. 다소 어색한 부분이 눈에 띄는 번역과 여기저기 보이는 틀린 맞춤법, 오타가 아쉬움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