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사회학
수디르 벤카테시 지음, 김영선 옮김 / 김영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을 이루는 사회적인 측면, 사회학이라는 이름아래 우리가 한 번쯤, 아니 어쩌면 끊임없이 고찰해보아야 하는 분야가 아닐까 싶다. 사람들이 이루고 있는 둘레와 그 굴레 속에서 펼쳐지고 있는 복잡한 체계 속에서 우리가 발견하고 한 번쯤은 아프게 꼬집어 보아야 할 만한 그것. 괴짜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이 책 속에는 너무 현실적이어서 되려 이질감까지 느껴지는 그런 경험이 담겨있다.  

연구실을 박차고 사회속으로, 우리들의 시간 속으로 들어온 작가가 경험한 것들은 내가 살고 있는 이 일상 속에서는 접해보지 못했던, 어쩌면 영화에서나 볼 수 있듯이 아주 동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다양성이라는 측면과 상대성이라는 기준을 놓고 볼 때 그리 먼 것은 아니다. 한 평생 살아가면서 나의 환경이 무난하게 흘러 그저 살아왔던 대로 매일매일이 지나가 버릴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삶이 단순하지 않으니까. 우리가 예상했던 대로 흘러갈 것들이었으면 애초에 노력이나 희망, 좌절 따위의 감정은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책과 영화를 통해, 흘러가는 리듬의 음악을 통해 그리고 아직 경험하지 못했던 기타 다른 존재들에 대한 열망과 필요성은 어쩌면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일을 접했을 때를 위한 작은 대비 중의 하나일 것이다. 아니면, 일어나지 않을 일들에 대한 대비라기 보다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그 단계보다 하나 더 위를 바라보는 지혜의 측면에서도. 

그러한 의미에서 새로운 것들을 접할 때의 충격과 반응하는 속도는 그때마다 다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빈민촌의 생활에 대해, 그 속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비견하여 그들의 생각은 어떠할 지, 똑같이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것은 무엇인지. 우리라고 함은 그들을 제외한 우리들을 말하는 게 아니고, 그들마저 포함한 사회, 이 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다. 하지만, 생각해보아야 할 가장 큰 쟁점은 이것이다. 왜 그들은, 그리고 우리는 내가 살고 있는 지금 이 현실을 벗어나기 힘들까. 그저 다 제쳐두어, 발판을 힘껏 밟아 뛰쳐 올라가기가 힘든 걸까. 아마, 이 사회가 우리를 이렇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라는 소심한 반발.  

기대해왔던 대로, 노력한 대로의 성과만이 얻어진다면 그건 현실이 아닐 것이며 영화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는 픽션일 것이다. 하지만, 영화라고 해서 픽션만이 전부인 것이 아니다. 그저, 영화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의 편집, 감독이 의도한 대로의 스토리, 촬영감독이 찍어버린 결과물, 그러한 환경이 영화를 픽션 속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논픽션을 토대로 만든 영화도 스크린에 비추어내는 그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 속에 픽션이 들어차 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사회학이라는 측면을 바라볼 때, 우리는 픽션 속에 살고 있는 논픽션의 존재들이다. 하염없이 떠오르는 공상 속의 존재들이 현실속에 내비춰, 결국 이루어질 때부터 우리는 그때까지의 공상이 망상이 아니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대치 않았던 일이 일어날 때의 희열, 그리고 바라보는 이의 의외성 등을 통해서.  

우리가 알아야 하고, 기억해야 할 것은 하나이다. 논픽션을 뛰어넘자. 현실적이고 사실적이지 않은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 것이며, 그 모든 것을 우리가 기대한 시나리오대로 흘러가길 바라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사회속의 존재가 아니라, 내가 그 속에 포함되어 있기 보다는 언제나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의지. 내가 오늘 한발자국을 내디뎠을 때 사회가 당장은 변하지 않을 지 몰라도, 매일같이 한발자국을 반복적으로 내딛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을 때까지. 바로 그 때에는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기획한 이 모든 것들이 실제로 이루어 질 수 있었던 것이었다고. 그래서 지금 사회속으로 한 발 내딛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