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 성격 급한 뉴요커, 고대 철학의 지혜를 만나다
마시모 피글리우치 지음, 석기용 옮김 / 든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by 마시모 피글리우치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밖에 있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다. 네이버 서평에서 나를 홀린 한 문장이었다. 나는 지나치게 걱정이 많은,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성격을 가진 사람인데, 나는 상당한 통제광이라 내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는 편이다. 이 명료한 문장 하나가 나로 하여금 이 책을 집어들게 했는데, 먼저 말하자면 줄줄이 옳은 말이 나온다 (내 기준에서). 어찌보면 내 주변에는 본인이 그렇게 인지하지는 못하지만 스토아주의자가 꽤 많았던 것 같다. 마음의 평화가 있는 사람들은 자기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할 뿐, 그 이상에 대해서는 비교적 덜 불안하고 힘들어 했다. 어차피 내가 통제할 수 없다면 그건 흐르는 대로, 흐르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맞다는 것을 로마시대부터 지금까지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스토아주의를 통해 주장해왔다. 그걸 쉽게 소개하는 책이라고 하면 좋겠다.

“‘우리는 우리의 능력 안에 있는 것들 가운데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자연이 주는 대로 받아들이세요.’ - 에픽테토스, [담화록], I, 1”

“우리는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정확히 그런 것들을 걱정하고 거기에 에너지를 집중한다. 그럴게 아니라 인생의 방정식에서 우리가 통제하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고 스토아주의자들은 말한다… 그래서 스토아주의자로부터 얻는 최고의 교훈 하나는 우리가 힘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곳에 주의와 노력을 집중하되, 그런 다음에는 우주가 원래 하던대로 돌아가도록 내버려 두라는 것이다. 이것이 많은 에너지 소모와 많은 걱정을 둘 다 덜어줄 것이다.”

구구절절 옳은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