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을 끓이며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면을 끓이며]
by 김훈


나는 김훈의 그 거칠고 투박하지만 섬세하고 장맛처럼 깊은 문체를 좋아한다. 그는 그의 산문집에서 늘 당신의 말과 어휘가 부족하여 머릿 속 그 생각들을 글로 옮기기에 부족하다며 스스로의 한계를 통탄하지만, 나는 늘 그의 모든 것을 꿰뚫는 시선과 생각들에 감탄하고, 그들을 글로써 옮길 수 있는 그 능력에 감탄한다. 무의식 중에 흘러가던 생각들을 잠시 시간을 멈추어 놓고 천천히 곱씹었을 때, 차분히 정리를 해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을까.

‘맛은 화학적 실체라기보다는 정서적 현상이다. 맛은 우리가 그것을 입안에서 누리고 있을 때만 유효한 현실이다. 그의 모든 시간 속에서 맛은 그리움으로 변해서 사람들의 뼈와 살과 정서의 깊은 곳에서 태아처럼 잠들어 있다.’

‘된장이나 간장, 무짠지, 오이지, 고추장아찌는 맛의 심층구를 갖는다. 시간이 그것들의 맛의 심층을 빚어낸다. 기다림 없이는 짠지다운 짠지를 맛볼 수 없다. 김장이나 오이지를 담그고 나서 우리는 설레는 환상을 참으며 그것들의 숙성을 기다려야 한다. 미리 뚜껑을 열고 들쑤시면 동티가 나서 다 망친다. 시간이 간을 재료의 안쪽으로 밀어넣고 재료의 성질을 변화시켜 맛의 심층을 이룬다. 그 맛은 거기에 절여진 시간의 맛이다.’

‘그것은 경험되지 않은 순수한 시간이었다. 바다는 수억만 년의 시간을 뒤채이면서, 이제 막 창조된 시원의 순간처럼 싱싱했고, 날마다 새로운 빛과 파도와 시간과 노을이 가득차서 넘쳐흘렀다. 바다는 시간을 통과해 나가지만 시간의 흔적이 묻어 있지 않았다. 바다는 늘 처음보는 바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