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파클 - 제18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청소년문학 134
최현진 지음 / 창비 / 2025년 4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으로 작성된 서평입니다*
흔히 어른들은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별거아니라고 치부한다.
기껏해야 학업문제, 진로문제, 친구문제일텐데
뭐하러 고민하냐고, 시간낭비라고, 지나고 보면 별거아니라고. 가볍게 얘기하지만
나도 그랬고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도 그랬듯이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은 그들의 인생을 통틀어서
가장 중요한 진지한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책 속 주인공의 유리도 마찬가지다.
어릴적 겪은 화재사고로 유리는 한쪽을 눈을 잃어 각막이식을 받았고
같은 사고로 인해 동생은 현재까지 식물인간 상태로 지내고 있다.
유리의 인생을 전반적으로 또 지독히도 괴롭혀온 화재사고는 모든걸 망쳐놓았다.
부모님의 이혼, 할머니와의 관계, 언제 깨어날지 모르는 동생의 상태, 또 망가져버린 내 눈.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어쩌면 필연적으로 자신에게 각막을 이식해준 기증자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게 되고
그 기증자의 흔적을 찾아가며 본인의 눈에 대해서 또 앞으로 살아갈 힘에 대해서
깨달음을 얻는 성장스토리다.
아직 정식 출간되기 전이라 표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책으로 받아보았다.
스파클. 이라는 통통튀는 글자와 아무런 색이 들어가있지 않은 깨끗한 표지가 오히려 책과 더 잘 어울렸다.
개인적으로 주인공 유리가 기증자 이영준을 찾아가는 과정이 참 흥미로웠다.
<하늘로 보내는 편지>라는 장기 기증자에게 편지를 쓸 수 있는 사이트를 통해
영준에게 같은 병실에 있던 시온이 쓴 편지들을 읽어보는 부분들이 많은 감정을 느끼게 했다.
같은 병실을 썼지만 이제는 없는 수신인.
그리고 그 수신인의 장기 한 부분을 이식받은 이식자.
시온이와 유리의 만남은 아슬아슬하게 또 불안한 외다리를 건너는 기분이 들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의대진학반의 수학학원을 다니며 배웠던 수학공식들을
현재 유리의 상황과 감정의 상태, 앞으로의 희망찬 미래로 풀어낼 때는 참 기똥차다 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를테면, 미지수 x.
문제에서 반드시 구해야만하는 x값은 유리에게 있어서 기증자 영준이였을 것이다.
본인이 겪고 있는 혼란스러움.
본인 눈에 보이는 눈송이들은 참 괘씸하게도 힘들 때 더 선명하게 빛난다.
마침내 시온과 영준이 위치한 제주도 한 공원에서 영준과 마주하게 되고 유리는 이렇게 한단계 더 성장한다.
그동안 가보지 못했던 동생을 보러가고 본인의 꿈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찾았으며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는다.
나를 포함한 스파클의 독자들이 스스로 찾아야할 미지수 X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될 것 같다.
스스로의 X는 어떤 것인지
그 X를 찾았을 때 우리가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스파클처럼 반짝이는 삶이 기다리고 있을지,
아니면 그 다른 것이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시기들을 잘 보내고 버텨낼거라는거.
스파클에서 보내는 따뜻한 메세지를 가슴 속에 오래도록 품고 지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