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밤에 영화 '서편제'를 보고야 말았네요. 몇 번 볼 기회가

있었는데 보다가 잠 들거나 못 보거나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기억나는 것은 '지루하다' 또는 '졸리다'였던 것 같습니다.

신기하게도 이번에는 밤을 새서 봤는데도 졸리지 않았습니다.

나이가 든 것인지, 이 책 때문인지 참으로 신기한 경험이네요.

 

'계몽(啓蒙)'. '꿈 몽'인 줄 알았더니 '입을 몽', '날릴 몽'

뭐 그러네요. 제 식대로라면 꿈에서 깨다 정도인데 실제로

의미가 더 세네요. '날려버리다' 쯤(?). 하여튼 우리나라에서

계몽주의는 한 때 전국을 강타했었죠. 국민계몽주의 소설인

'상록수'는 누구나 아시잖아요. 여기서 '안다'라는 것은

'읽었다'와는 좀 다른 것이죠. 물론 읽으신 분들이 많으시리라

생각되지만요. 어쨌든 계몽주의에 대해서 뭐 크게 그렇게

나쁜 인상은 없었으나, 이 책에서는 엄청 뭐라고 하시네요.

계몽주의를 이루었던 진화론(즉 자연과학으로써의 진화론이

아닌 정치사회적으로 약간 왜곡된 진화론), 민족의 탄생,

기독교의 영향, 우리의 대표적 정서로 자리매김한 '한(恨)'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개념들이죠. 이제 100년 조금 넘었다네요.

이런 개념이 생긴지 말이죠. 그것이 '전통'이 된 것이죠.

반 만 년 역사를 훑고 지나온 것보다 더 강하게 말이죠.

 

달라이 라마가 말했다는 티벳족에 관한 설명이 인상에

남습니다. 티벳족은 정말 극한 상황을 빼고는 항상 웃음과

여유를 잃지 않는다고 하네요. 더불어 저는 우리 나라를

생각해 봅니다. 우리도 고생했다면 좀 했다고 볼 수 있는데

늘 풍자와 해학으로 대표되는 그 특유의 여유를 보여왔다고

생각되는데 말이죠. 한 일본인의 이론으로 촉발된 정서인

'한'이 대표적 이미지가 되었다니...

 

이 책을 읽고 '서편제'를 보니 좀 달리 보이는 것 같습니다.

질펀한 대사들도 좀 들어오고, 졸리지도 않고, 예전에

못 느꼈던 재미도 느끼고요. 그러나 좀 씁쓸함도 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