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출판도 다른 문화예술처럼 기부나 정부지원,

기업보조, 스폰서 등으로 연명해야 할 때가 오는 건

아닌지 합니다. 지금도 출판 펀딩이나 정부지원이

있긴 합니다만, 일부의 혜택일뿐이고 기업후원은

자비출판 아니면 전무하다고 할 수 있죠.

하긴 우리의 영웅 박태환 선수도 홀로서기 하는 판에

출판이야..뭐.. 요즘의 출판을 이끌어가는 것이 그래도

상업출판인데 외부지원 운운하는 것도 좀 기분이 좋지는

않죠. 그래도 살아야하고 유지되어야 하는 산업이기에..

그냥 그렇다는 것이죠.

 

 

19세기 러시아는 명망있거나, 전도가 유망한 예술인 즉 작가, 배우, 화가 등의

성장에 후견인의 영향력이 컸던 것 같습니다. 물론 유럽도 그랬고, 척박하지만

우리의 과거도 그랬던 것 같네요. 근데 좀 음성적이긴 하네요. 어쨌든 우리가

아는 내로라하는 러시아 작가들이 이 시대에 포진되어 있기에 부러워서 말이죠.

푸쉬킨,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체홉. 이들이 다 아닌가.

이들은 당대의 작가이며, 역사가이며, 사상가이며..뭐 시대의 구루들이죠.

 

요즘 우리의 문학은 뭘까?를 생각케 하는 책이였습니다. 저는 출판쟁이니까

요즘의 출판은 뭘까?를 생각케 하기도 하지요. 한때는 우리도 시대를 선도하고

사상을 최일선에서 알리고, 사람들에게 생각할거리를 제공하는 그런 역할을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19세기의 저들처럼 말이죠. 현재 우리는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사명과 소명을 다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죠. 뭐라 답하기 궁색합니다.

마음 한켠에는 '그래도 뭐..'라는 생각도 있지만 딱히 탐탁치 못하기 때문이죠.

 

남의 탓입니까?

내 탓이지요. 스스로를 출판쟁이라 일컫는..

제가 못난 탓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