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가 1960 

                           보르헤스

내 운명이라는 이 꿈을 주관하는 

명확한 우연이나 은밀한 법칙이 바라네. 

물방울인 내가 강물인 너와 대화를 나누기를, 

순간인 내가 연속적 시간인 너와 대화를 나누기를, 

그리고 으레 그러하듯 진솔한 대화가 

신들이 사랑하는 의식과 어둠, 

또한 시의 고상함에 호소하기를. 

영광과 굴욕이 교차하는 

다사다난했던 일백오십년을 품에 보듬는 

아, 필연적이고 달콤한 조국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 민음사, 우석균 옮김)  

어제 아르헨티나와 독일의 월드컵 축구 경기를 봤는데, 특별히 한 팀을 응원해야 할 이유는 없었지만 심정적으로는 아르헨티나가 이기기를 바랬다. 독일에 비해 아르헨티나에 더 친밀감을 느끼거나 해서는 아니었고 남미의 다른 강호 브라질이 떨어졌기 때문에 아르헨티나라도 올라가 남미와 유럽이 균형을 맞추는 것이 좀더 공평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결과는 많은 사람들의 예상이나 내 심정적인 응원과는 달리 아르헨티나의 참패로 끝났다. 개인적으로 아르헨티나를 응원하긴 했지만 경기 시작 전부터 왠지 독일이 이길 것 같다는 예감을 갖기는 했었다. 잉글랜드를 대파한 독일의 기세가 대단해 보였기 때문이다. 

독일에 대패한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좀 측은해  보이는 김에, 보르헤스의 시집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열기>를 꺼내 읽어 보았다. 개인적으로 네루다의 시보다는 보르헤스의 시들를 더 좋아한다. 네루다는 초현실주의적 경향도 보이긴 했지만 기본적으로그는 서정시인이고 낭만주의적 경향이 강하다. 반면 보르헤스는 엘리엇과 같이 매우 주지주의적인 경향을 보인다. 언어의 장벽 때문에 아무래도 번역된 서정시 보다는 번역된 주지주의 시가 더 이해하기 쉬워서 인지도 모르겠다.  

송가 1960 이라는 제목의 위의 시는 아마도 아르헨티나 건국 150주년을 기념한 시인 것 같다. 시집에 별다른 배경 설명은 없지만 금년(2010)이 아르헨티나 건국 200주년이기에 당연히 1960년은 150 주년이었을 테고, "다사다난했던 일백오십년"은 아르헨티나의 건국후 150년 역사를 말하는 것이리라. 결국 아르헨티나는 1810년에 건국된 셈인데, 이 시기는 나폴레옹에 의해 스페인이 정복되고 남미 지역에 대한 스페인의 지배력이 현저히 약화된 이후의 일이다. 인접국인 칠레도 금년이 독립 200주년인 것을 보면 그 시기에 남미의 많은 국가들이 일제히 독립을 쟁취한 것 같다. 

보르헤스가 말했듯이 길지 않은 역사 동안 많은 아르헨티나에는 영광과 굴욕이 있었을 것이다. 페론주의-군사 쿠데타의 반복으로 상징되는 굴곡많은 정치사를 배경으로 아르헨티나는 호소력을 가진 문화들을 창출해 냈다. 보르헤스의 문학이 그렇고, 탱고 음악이 그렇고 종속이론에서 최근의 라클라우까지 이어지는 사회과학도 그렇다. 아르헨티나는 단순히 축구만을 잘하는 나라는 아닌 것이다.  

 

" 물방울인 내가 강물인 너와 대화를 나누기를, 

      순간인 내가 연속적 시간인 너와 대화를 나누기를, " 

개인과 역사에 대한 참으로 멋진 메타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