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의 세포로부터 - 우리 안의 우주를 탐험하는 생명과학 오디세이
벤 스탠거 지음, 양병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9월
평점 :
모처럼 과학적인 사고를 하면서 뇌에 주름이 몇 가닥 그어지는 것만 같은 흐뭇한 느낌을 갖게 하는 책을 읽었다. 한 마디로, ’세포‘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한 번에 훑어주는 책.
모든 생명은 단 하나의 세포에서 출발했다는 명제에서부터 출발해서 세포분열과정에 대한 설명, 이런 과정을 효과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을 발견한 과학자들의 이야기, 유전, 줄기세포, 암, 그리고 재생의학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세포와 관련된 현대과학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 아우르고 있다고 봐도 좋을 듯 하다.
뒤로 갈수록 전문적인 설명이 많아져서 이해하기 힘든 내용도 있긴 했지만, 우리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생명과정이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설명하면서 그 시작이 작은 세포 하나였음에 감탄하는 저자에게 나도 덩달아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나 감탄한 부분은, 과학서적임에도 군데군데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나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의 구절들이 멋들어지게 인용된다는 점이다. 특히 <멋진 신세계> 중에서 인간을 하나의 세포로 복제해서 모두 똑같은 사람으로 ’찍어내는‘ 부분이 그대로 옮겨져있어서 흥미로웠다.
“ 올더스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에서 인간 복제가 일상화된 가상의 문명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소설의 초반에서 그는 소위 ‘보카놉스키 공정Bokanovsky process’을 사용해 대량의 동일한 개체를 생성하는 공장의 모습을 묘사한다.
‘ 공장장은 “보카놉스키 공정”이라고 반복해서 말했고, 견학 온 학생들은 작은 노트에 밑줄을 그었다. 하나의 난자, 하나의 배아, 한 명의 성인. 이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보카놉스키의 알은 싹을 틔우고, 성장하고, 분열한다. 여덟 개에서 아흔여섯 개까지 싹이 트는데, 모든 싹이 완벽하게 형성된 배아이며, 모든 배아는 온전한 크기의 성인으로 성장한다. 전에는 한 명만 자랐던 곳에서 아흔여섯 명의 인간이 성장하는 것이다. 진보란 바로 이런 것이다. ’ ”
또 하나, 저자의 의견 중에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바로 생물학적 문해력biologycal literacy에 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특히나 ‘생명’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면서 윤리적·재정적·의학적 위험과 이점의 비교검토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요즘같은 정보 과부하시대에 전체 연구의 부분을 이루는 모든 단위에서 이런 과정을 엄격하게 따르기란 쉽지않은 현실이라는 것, 또한 새로 발견한 과학적 지식을 더 넓은 사회가 소화하고 실생활에 반영하기란 더욱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러한 논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과정을 ‘생물학적 문해력’이라고 칭하고, 생물학적 문해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 와 있다고 강조한다.
말랑말랑한 소설들만 주로 읽다가 과학자들의 집념어린 실험과 새로운 발견에 대한 이야기, 특히 관찰을 통해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리저리 궁리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니 짜릿하고 흥분되는 느낌에 기분이 좋아졌다. 신선하고 지적인 자극 덕분에 대뇌피질과 시상하부가 모처럼 마구 활성화되는 느낌.
________
신체와 세포에 관한 무지는 우리의 이해를 왜소하게 만든다. 하지만 호기심 많은 이들에게 이러한 지식의 격차는 오히려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무지와 이해의 경계, 지도가 제대로 그려지지 않은 곳을 탐색하며 느끼는 흥분, 결국 그것이 연구의 가장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부분이니 말이다. 호기심은 인간을 동물계의 독특한 존재로 부상시킨다. “내가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이런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생물은 인간이 유일하다. 그 자체로는 아무런 실익이 없는 질문이지만, 우리는 이런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는 존재다. 지식에 대한 탐구는 인간의 타고난 권리다.
과학적 연구,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해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노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만족스러운 일이요, 역사와 기술과 유연한 사고의 결합을 필요로 하는 창의적인 행위다. 그리고 최고의 과학, 아니 모든 과학은 하나의 단순한 고백에서 시작된다. “나는 모른다.”
하나의 세포로부터 | 벤 스탠거, 양병찬 저
#하나의세포로부터 #벤스탠거 #웅진지식하우스 #과학서적 #세포이야기 #독서 #책읽기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