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B 탐구 수업과 질문하는 문해력 - 책으로 탐구하는 IB 학습자상 수업과 읽고 쓰기를 위한 방법
독서생활연구소 외 지음 / 초록비책공방 / 2025년 4월
평점 :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독서를 기반으로 한 IB의 10가지 학습자상을 주제로 독서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사례로 묶어 설명하고 있다. IB 수업이 읽기과 쓰기로 구현되기에 그림책, 동화, 교과서 등 다양한 읽기 자료를 활용해서 IB 탐구 수업 모델을 진행한다. 가정에서도 활용해 볼 수 있는 4종의 쓰기 기본 활동지와 교사진들이 연구해 선정한 주제별 독서 목록이 제공된다.
읽기 활동이 그룹 활동으로 진행되는 형태이고, 읽고 질문을 던지는 수업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가정에서 활용은 어려울 수도 있다.
나처럼, 오랜 시간 독서 교육 일선에서 일하는 독서지도사 입장에서는 기존에 하고 있던 독서 토론 형식의 수업에 여러 필독서를 그룹 내에서 교차 질문하며 탐구하고 정리하는 활동에 활용해 볼만한 점들이 있었다.
기억에 남는 부분은
"일반화된 질문에 바로 답을 쓸 때는 책 내용이 구체적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책 속에서 답을 찾기보다 일반적인 자기 경험에서 찾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개별적으로 책 속에서 답을 쓴 다음에 이를 종합하면 경험보다는 자신이 정리한 것에서 일반화할 수 있기에 처음 답변과 차이가 당연히 난다."
이다.
책을 대강 읽고 와 일반적인 주제로 접근해 얼렁뚱땅 넘어가려고 하는 책 친구들에게 적용해 볼 방법이다. 책에서 질문을 만들어 스스로 답하고 일반적인 개념어와 연결지어 말할 수 있도록 코칭해봐야겠다. 구체적인 질문(자세한 질문과는 다르다)과 텍스트 기반 답변은 일반화의 오류에서 아이들의 생각을 구체화한다. 구체적인 생각을 다시 자기만의 논리로 일반화하는 것이 IB 탐구수업의 질문하는 문해력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