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 가이드북 - 한 권으로 살펴보는 미스터리 장르의 모든 것
윤영천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스터리 가이드북』은 국내 최고의 추리 사이트 '하우미스터리' 운영자이자 출판사 기획, 편집자를 역임하며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 엘러리 퀸 컬렉션 등 유명 작품들을 작업한 윤영천 작가(닉네임 데카 decca)가 업계 및 미스터리 애호가로서의 전문가적 식견과 경험을 살려 미스터리 전반을 종합적으로 안내하는 지침서이다.

미스터리라는 용어의 본질적인 정의와 개념을 시작으로 역사적 흐름에 따라 파생되는 다양한 서브 장르들 (추리, 스릴러, 스파이물, 하드보일드, 코지물, 경찰 소설 등), 서양 미스터리와 일본 추리소설과의 연계성, 유명한 추리소설과 탐정들 그리고 관련 상들, 미스터리에 쓰이는 다양한 기법들과 창작에 관련한 핵심 요소 등 그야말로 미스터리 전반을 포괄적으로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일단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장르인 서양 고전 추리소설이나 일본 본격, 신본격, 사회파 추리물에 대한 설명을 읽으니 너무나 친숙해서 반갑다. 거기에 동반되는 기본적인 기법 (밀실, 트릭, 암호, 클로즈드 서클 등)도 흥미진진하고... 반면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해 생소한 하드보일드, 스파이 소설, 코지 및 역사 미스터리와 신경향의 라이트 문예 등의 설명을 읽으니 나 자신의 독서 스펙트럼의 폭이 조금은 넓어지는 느낌이다.

미스터리라는 큰 물줄기로부터 역사적 흐름과 분기를 통해 자연스레 파생되어 외연 확장하는 다양한 서브 장르의 세계를 탐험하는 것이 제일 만족스러웠고, 미스터리 기본 구조의 이해, 후더닛/하우더닛에서 와이더닛으로의 변화, 추리와 스릴러의 차이, 도메스틱 스릴러로 대변되는 현대 미스터리 출판 시장의 경향 등 유익한 정보와 읽을거리가 많다. 아울러 미스디렉션으로 알고 있던 '레드 헤링'이라는 용어, 유리열쇠상, 일본 랭킹 매거진, 서점 대상 등 해외 유수 상들의 정의와 배경 같은 디테일한 면을 들여다보며 배우는 재미도 쏠쏠하다.

'한국 추리소설의 어제와 오늘'을 설명하는 한이 한국추리작가협회장님의 글을 읽어보면, 김내성, 김성종 두 슈퍼스타 이후로 고만고만한 작가분들이 악전고투하는 느낌. 한국 미스터리는 수준이 떨어진다는 편견과 1차로 검증된 수많은 번역서와의 경쟁 등 이중고에 시달리지만 이 역시 한국 추리 문학이 감내하고 극복해 가야 하는 과제임이 분명하다.

마지막에 역사적 흐름에 따른 작가의 '추천 미스터리 100선'이 나오는데 이게 어찌 보면 엑기스이다. 그야말로 시대를 대표하는 추리, 하드보일드, 스파이물, 코지물, 스릴러 등 다양한 서브 장르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나열되는데 내가 읽은 책을 세어보니 딱 절반인 오십 권이다. 이 기회에 안 읽은 책 중 관심 가는 몇 권을 읽어봐야겠다. (개인적으로는, 밀실 미스터리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 <세 개의 관>과 후대 작가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붉은 머리 가문의 비극>이 리스트에 없는게 아쉽다.)

아, 그리고 인상 깊은 구절이 있다. 나오는 글 마지막에 "미스터리가 왜 재미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작가의 오랜 고민 끝에 내놓은 해답이다. 제법 멋진 답변인지라 구절 한 마디 한 마디가 기억에 남는다. 나도 어디 가서 써먹어야겠다 ^^.

이 책은 『미스터리 가이드북』이다. 한 번 완독하고 책장에 처박아둘 책이 아니다. 두고두고 생각날 때 펼쳐서 관심 분야를 한 번 더 펼쳐보고 음미하고 참고하기에 좋다. 이제 막 미스터리에 입문하려는 초심자에게는 종합 안내서 같은 책이고, 초심자를 벗어나 다양한 서브 장르의 갈림길에서 서성이는 독자에게는 훌륭한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다. 물론 나 같은 마니아(?)에게는 미스터리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균형감 있게 이해하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참고서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