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어린 시절의 일들은 기억 저편에서 퍼즐 조각처럼 흩어져 있다. 시간도 정확히 알 수 없는 일들이 드문드문 한 장의 사진처럼 남아 있을 뿐이다. 그 시절에 함께 뛰어놀고 했을 친구들의 이름도 가물가물하고 살았던 곳도 찾을 수 없을 만큼 변해버렸다. 내게 있어 어린시절은 추억도 남아있지 않은 자라는 과정 속의 시간에 불과했었나?


  인왕산 산기슭에 사는 초등학생 동구를 만난 것은 일주일 전 주말이었다. 일요일 오후의 허전함을 채우고자 동생이 두고 간 책(나의 아름다운 정원)을 펼쳤다. 어린 아이가 자신의 얘기를 하기 시작했다. 열 살이 조금 넘었을 이 아이의 머리 속은 도대체 몇 살인가? 삶에 깨달음을 얻은 사람처럼 너무도 무심히 말을 한다. 몸만 아이지 사람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른 보다 더 세심하다.


  동구는 인왕산 기슭에 살고 있다. 부유한 아래동네와는 비교할 수 없이 좁은 동네지만, 아름다운 정원이 있는 3층집이 있고 이웃간에 정이 살아있는 그런 곳이다. 동구가 들려주는 가족이야기. 사랑하는 어머니와 집안의 불란을 조장하는 할머니와 그것을 조율하지 못하고 어머니께 폭력을 행사하는 아버지, 그리고 초등학생인 동구. 온기가 없는 가정에 동생 영주가 태어나면서 조금씩 웃음꽃이 피어난다. 어머니와 할머니의 대치는 늘 불안하게 가정을 지탱하는 축을 이뤘지만, 영주가 자라면서 보여주는 영특함과 사랑스러움이 그것을 덮을 수 있었다.


  비록 초등학교 4학년이나 되고 생각이 깊고 착한 동구지만 글을 제대로 읽고 쓰지 못하는 난독증을 앓고 있다. 할머니는 지 얘미 닮아서 머리가 모자란 놈이라고 늘 심하게 대하고 부모님은 좀 자라면 자연스레 해결될 문제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동구가 사랑하는 박선생님의 따스한 보살핌으로 극복하게 된다.


  초등학교시절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시거나 혹은 멋있는 이성 선생님께 좋은 감정을 갖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동구 또한 자신의 고민을 진지하게 들어주시는 박영은 선생님께 풋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또한 주리삼촌과 함께한 자리에서 사회 현실에 대해서 느끼는 그의 감정(내 어린시절에도 그렇게 받아들였듯이)은 어린시절 정의라고 믿었던(교육 받았던) 국가가 맞지 않을 수 도 있겠다는 짐작을 품게 된다.


  할머니와 엄마의 대립, 그로 인해 야기되는 부모의 갈등, 그리고 사랑하는 동생 영주의 죽음으로 동구의 집은 극단으로 치닫는다. 어머니는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할머니는 누워 일어나지 못했으며, 아버지는 상실감으로 늘 술과 함께 지내게 된다. 동구 또한 다시 난독 속으로 빠져들었다. 사랑하는 선생님과 동생, 그리고 어머니가 자신 곁을 떠났다는 자책감에 무너진 어린 소년의 가슴을 얼마나 헤아릴 수 있겠는가? 할머니와 같이 시골 노루머리로 떠날 결심을 하고 마지막으로 정원에 앉아서 나무와 꽃, 새를 느끼는 동구의 모습은 비록 어리지만 삶의 의미를 깨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구의 이야기 속에서 내가 어린 시절 보았던 보통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서 가슴 한구석이 따뜻했지만, 사랑하는 사람들이 떠나고 가족이 해체되어 가는 모습을 보면서 터질 듯한 슬픔 또한 느꼈다. 너무 아름다운 얘기지만, 다시 읽어 볼 용기가 생기지 않은 책이다. 따뜻함과 슬픔을 내게 준 “나의 아름다운 정원”을 언제 다시 펴볼 수 있을 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