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형 인간 -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사이쇼 히로시 지음, 최현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생각해 보았다. 이른 시간에 일어나서 하루를 시작하라는 것. 산책을 하고, 하루의 일과에 대해서 계획하고 점검해 보라는 것. 이 모두가 결국은 준비하는 삶, 스스로에게 주어진 시간을 주도적으로, 자신의 의지대로 활용하라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런 생활 방식은 매일매일을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다. 하루의 계획과 준비, 그리고 시작을 아침에 하라는 저자의 말은 우리의 몸이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잠자는 생활리듬에 맞춰져 있다는 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인류가 탄생하고 지금까지 지내오면서 지난 백년의 시간을 제외하면, 낮에 활동하고 밤에는 휴식을 취하는 생활을 아주 오랜 기간동안 지속해 왔다. 당연히 우리의 몸도 이런 패턴에 맞춰져 있다고 주장한다.

과학의 발전을 통한 전기라든가, 기타 여가적 부속물들이 개발 되면서, 인간이 밤에 활동하는 것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어지게 되었다. 새로운 영역인 이 시간을 많은 사람들은 잠을 자는 대신 다른 무언가를 찾아 활동하기 시작했다. 특히 지금의 사회에는 술, 중독성인 있는 게임, 기타 다른 여가들이 사람들을 유혹한다.

스트레스가 많은 사회생활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만의 해소법을 찾으려 하는데, 이런 활동들은 업무가 끝나는 저녁부터 이루어 지게 된다. 경험으로 느끼듯이 이런 활동들은 밤과 때로는 새벽까지 지속된다.

물론, 이런 활동들이 단지, 놀이나 여가로만 여겨지는 것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야근과 같은 회사일이나, 자기개발-외국어, 컴퓨터, 기타 자격증 등등-을 위한 시간의 투자도 많이 있다.

저자는 이런 모든 활동들이 일시적인 행복감이나 성공을 거둘수도 있겠지만, 자연의 흐름에 어긋나는 생활방식은 결국 우리가 원하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없다고 말한다.

야행성 생활이 계속되서 삶의 방식으로 자리잡게 되면, 늘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힘들어 진다. 겨우 일어나서 만원버스나 전철을 타고 출근하고, 피곤한 정신과 몸으로 일을 하는 것은, 능률적으로도 떨어지고 일에 대한 대처도 피동적으로 되기 싶다. 그냥 하루하루 넘기는 것과 같은.

사람의 인생을 살아가는데는 자신만의 큰 지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지도의 나침반 역할을 하는 원칙들도 마음과 몸에 익혀야한다. 너무도 당연한 얘기를 들려 주었던 스티븐 코비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 제시하는 아침의 활용의 이로움은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으리라 믿는다. 다만, 그 실천의 힘듬으로 잊고 지내는 것일 뿐이다.

큰 변화는 단번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지도에 따라서, 하나씩 하나씩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만들어 진다. 원하는 무엇인가를 하겠다는 결심과 행동의 시작들이 작은 변화들을 만들며,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몸과 마음의 일부가 되면, 어느새 자신의 삶이 지금과는 다르게 변해있으리라 믿는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우선 사람들이 1년을 돌아보고 변화하려는 욕구를 갖게 되는 시기에 발간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책의 내용 또한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저자가(혹은 변역가가) 썼기 때문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변화의 동기부여와 행동의 힘을 갖게 해주었다면, 그것이 최고의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