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깨어서 뒤척이자마자 바깥양반이 문득 "애도의 장인"이라는 책이 있더라고 말하기에,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놓고 잠시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무래도 "장인(丈人)"일 가능성은 없으니, 십중팔구 "장인(匠人)"일 것인데, 그렇다면 <애도하는 사람>인가 하는 일본 소설의 내용과도 비슷하게 여기저기 문상 다니며 애도하는 전문가를 뜻하는 건가 싶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애도의 장인"이 아니라 "에도의 장인"이라는 일본 만화를 말한 것이었다. 나귀님 입장에서도 할 말은 있으니, 지난번에 바깥양반이 갑자기 '에도에 관한 책이 있느냐'고 묻기에 일본사 여러 권과 에도의 미술이며 식물이며 패스트푸드에 이르는 여러 주제의 책을 꺼냈다가, '에도(江戶)'가 아니라 '애도(哀悼)'라고 하기에 머쓱했기 때문이다.


나귀님이 보기에는 '에도'와 '애도' 모두 최근에 와서 관련서가 여럿 나오는 등 새삼스레 주목을 받는 것 같다. 일본의 옛 도시에 대한 관심은 소설이나 만화 같은 일본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과 맥을 같이 하는 듯하고, 상례의 한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는 과거에만 해도 의례와 관련해서만 사용되었던 듯한데 최근 들어서는 개인과 관련해서도 사용되는 모양이다.


그나저나 바깥양반이 말한 만화는 결국 옛날 에도(江戶)에 살았던 장인(匠人)들의 이야기인 듯하다. 실용적이고 서민적인 성격이 강한 지역이자 시대였다고 알고 있으니, 대략 <일본영대장>에 수록된 것과 비슷한 내용은 아닐까. 그러고 보니 다니구치 지로의 '산책' 시리즈 가운데 하나인 <에도 산책>에 등장하는 주인공도 그런 장인 가운데 하나일지 모르겠다.


제목 그대로 에도 시대에 산책을 핑계로 사방팔방으로 돌아다니며 거리를 재고 지도를 그린 남자의 이야기인데, 일본의 지도 제작자인 이노 다다타카를 모델로 삼았다고 알고 있다. 거기 나온 다니구치 지로의 그림 중에는 우타가와 히로시게의 판화 <명소에도백경>의 장면을 오마주한 것도 종종 나타나서 흥미로웠는데, 봄을 맞이해 오랜만에 다시 꺼내봐야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