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에서 '2025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 기념 이벤트를 하나 싶더니 지금은 또 지나간 모양이다. 양자과학의 기초 중 하나인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발표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서 유네스코에서 그렇게 지정한 모양인데, 정작 알라딘이 이벤트용으로 만든 '돈 주고 사는 사은품'은 무려 '슈뢰딩거의 고양이 티셔츠'라서 뭔가 좀 어색해 보이기도 한다.


물론 이과가 아닌 나귀님이니 혹시나 잘못 이해한 바가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꽤 오래 전에 하이젠베르크의 여러 에세이며 범양사 과학책 몇 권을 읽었던 기억을 더듬어 보자면, 하이젠베르크의 입자론과 슈뢰딩거의 파동론은 시작부터 상호 모순이라고 해서 논란이 있었으며, 그걸 억지로 화해시킨 것이 보어의 상보성 원리, 즉 코펜하겐 해석이라고 알고 있다.


이에 대해 슈뢰딩거가 반발하며 내놓은 것이 저 유명한 고양이 사고 실험인데, 뚜껑을 열어서 직접 확인하기 전까지는 삶과 죽음이 중첩된 모순적인 상태일 수밖에 없다는 비판이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나중에 가서는 이 비판이 오히려 양자과학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며 호의적으로 전용되어, 급기야 알라딘 고양이 티셔츠까지 나온 듯하다.


그런데 여기서 아이러니한 점은 슈뢰딩거의 실험이 결국 '고양이 죽이기'를 의도한 셈이니, 요즘 기준으로는 동물 학대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알라딘 이벤트에서야 '살아 있는 고양이'와 '유령 고양이'라고 에둘러 말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 보면 '고양이' 아니면 '고양이 시체'가 나온다는 뜻이니, 실제로 고양이 좋아하는 사람들이 반길 만한 내용까지는 아니다.


물론 슈뢰딩거의 제안이야 어디까지나 사고 실험일 뿐이고 실현된 적까지는 없으니, 이걸 가지고 굳이 시비를 거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수 있겠다. 다만 '2025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 선정 자체부터 하이젠베르크와 보어 같은 주류를 기준으로 삼았다고 하니, 그저 사은품 디자인으로만 흔적을 남긴 비주류 슈뢰딩거의 처지가 새삼 안쓰러워 해 본 말일 뿐이다.



[*]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수많은 창작물에서 형상화된 바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네이버 웹툰 <집사레인저>에서 등장한 버전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