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중에 웨이드 데이비스의 책이 있기에 이 양반, 아직 안 돌아가셨나 싶어서 살짝 신기했다. 대표작이 어쩌다 보니 아이티 좀비의 실존 가능성을 연구한 <뱀과 무지개>(번역서 제목은 지나치게 노골적인 <나는 좀비를 만났다>)이기 때문인지, 살짝 사이비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어서 책이야 여러 권 사 놓고도 외면하고 있었는데, 다시 한 번 들춰봐야 하려나 싶다.


좀비라고 하면 지금은 조지 로메로의 <살아 있는 시체들의 밤> 이래로 각종 영화나 드라마에서 형상화된 식인 괴물을 떠올리기가 쉽지만, 그 원산지(?)인 아이티의 좀비는 오늘날 유행하는 그런 모습과는 상당히 다르다고 알고 있다. 즉 인간이기는 해도 죽었다가 되살아나는 과정에서 사고력을 상실하는 바람에 로봇처럼 주인의 명령에 복종해서 각종 노역을 떠맡는다.


인류학자 웨이드 데이비스는 아이티 좀비의 본질이 약물 중독을 통한 인위적 퇴행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즉 멀쩡한 사람에게 독극물을 주입해서 가사 상태로 만든 다음, 매장된 사람을 꺼내 해독제를 투여해서 살려내고,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멀쩡해지지는 않도록 독극물을 꾸준히 주입하면, 그 사람은 약에 취해 비몽사몽해진 상태에서 노예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는 좀비를 만났다>는 데이비스가 실제로 아이티에 가서 좀비 전설의 실체를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논픽션이다. 다만 이처럼 논란의 여지가 있는, 또는 믿거나말거나 싶은 내용의 책이 항상 그렇듯이, 확실한 증거를 파악해서 반박불가능하게 확답을 얻어낸 것까지는 아니고, 막판에 가서는 이런저런 차질과 문제로 인해 흐지부지 애매하게 끝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데이비스의 책을 훗날 웨스 크레이븐이 영화로도 각색했는데, 이게 좀비 영화인지 드라큘라 영화인지 판가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워낙 싼티 나는 포스터이다 보니 공포 영화에 관심 많은 나귀님도 선뜻 보고 싶은 생각까지는 없었던 기억이 난다. 그 저자의 이름에 '서양 강시선생'이라는 별명을 자연스럽게 결부시켰던 것도 아마 그 영화 포스터의 영향이었던 것 같다.


한때 홍콩 영화의 인기 장르 가운데 하나였던 강시 영화는 오늘날 거의 맥이 끊기지 않았나 싶은데, 처음에만 해도 쿵푸와 공포의 조합으로 상당히 큰 인기를 끌었다고 알고 있다. 이 시리즈의 주역은 도사님으로 나온 임정영이란 배우이지만, 그 원조는 몇 작품을 직접 감독까지 했던 홍금보라고 알고 있으며, 그 최초는 그가 주연한 <귀타귀>라는 영화라고 알고 있다.


얼마 전 <파묘>라는 영화가 한국의 무속 신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인기를 끌었다는데, 거기서 핵심 장치로 나온 맨살에 경문 써넣기 역시 <귀타귀> 시리즈 가운데 하나에서 이미 사용된 바 있었다. 어린 시절 동네 담벼락에 붙은 숱한 포스터 가운데 하나에서 홍금보가 온 몸에 이상한 글자를 적은 모습으로 나온 것을 보고 상당히 기괴하다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영화 <야만인 코난>에도 유사한 내용이 나오는데, 물론 퇴마용 방어책으로서의 불경이나 부적 써넣기는 일본 괴담 "귀 없는 호이치"가 원조일 듯하다. 장님 악사 호이치가 밤마다 공동묘지로 불려가 귀신들 앞에서 공연하자, 스님이 맨몸에 불경을 적어서 귀신의 눈에 안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깜박 잊고 귀에는 글자를 적지 않는 바람에 귀신에게 귀를 뜯겼다는 것이다.


웨이드 데이비스의 다른 저서를 보면 이른바 비서구 문명의 각종 전승을 재해석하는 데에 관심이 많아 보이는데, 앞서 설명한 좀비 연구도 어쩌면 유사한 맥락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다만 그 연구를 놓고 숱한 논란과 비판이 제기된 것을 보면, 20세기에 동양의 영성이며 비서구의 지혜며를 추구한 다른 연구자들처럼 그 역시 살짝 균형을 잃지는 않았었나 싶기도 하다.



[*] 그나저나 웨이드 데이비스의 신간을 펴낸 아고라 출판사는 레닌 전집을 간행하다 말고 한동안 책을 내지 않는 것 같더니만 뜬금없이 강시선생 책이니, 이건 또 무슨 조홧속인지 모르겠다. 여기서는 고전 공상과학소설 시리즈를 내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지금 다시 살펴보니 그 시리즈 가운데 하나가 레닌의 <국가와 혁명>인 것을 보니, 결국 여기서는 레닌을 공상과학소설의 대표 작가 가운데 한 명 정도로 보는 것인가 싶기도 하다. 사실 레닌 전집도 어떻게 될지 궁금하지만, 진짜로 아까운 것은 그 공상과학소설 시리즈이다. 이번 기회에 시리즈 재간이나 속간을 한 번 기대해 보고 싶다. 필요하다면 레닌이나, 아니면 마르크스 책을 한두 권 슬쩍 집어넣어도 모른 척 해줄 의향이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