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 에밀리 디킨슨 이야기를 꺼냈으니 결국 린 마굴리스 이야기도 해야 할 것 같다. 시인과 생물학자라는 직업상 영 무관해 보이는 두 사람의 만남은 1988년에 마굴리스가 매사추세츠 대학 애머스트 캠퍼스에 교수로 부임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녀가 살게 된 집의 바로 옆집이 디킨슨의 생가 겸 박물관이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마굴리스는 이웃으로서의 본분을 다하여 디킨슨의 시에 푹 빠져들었으며, 그로부터 10년 뒤에 간행한 <공생자 행성>에서는 각 장의 서두에 디킨슨의 시를 인용할 정도가 되었다. 사후에 간행된 기념 문집 <린 마굴리스>에도 "에밀리 디킨슨의 이웃"이라는 제목으로 테리 Y. 앨런의 회고가 수록되었을 정도다.
그런데 앨런의 증언에 따르면 마굴리스는 디킨슨에게 푹 빠진 나머지 갖가지 "이단적인" 주장까지도 기꺼이 포용하고 말았다. 즉 평생 독신이었던 저 여성 시인이 "주인님"이라 지칭한 남자에 대한 주장은 물론이고, 그녀의 시가 은밀한 성생활에 대한 암호화 기록이라는 주장까지도 옹호하며 출판까지 주선했던 것이다.
이렇게 파격을 좋아하다 못해 종종 무리수를 두는 것이야말로 린 마굴리스의 평소 성격이었는데, 대표적인 업적으로 간주되는 세포의 공생 발생 이론이라든지, (제임스 러브록과의 공동 연구로 탄생한) 가이아 이론 역시 오늘날에는 상식처럼 되었지만 처음에만 해도 상당한 논란을 일으킨 이단적 주장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기존의 권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사고방식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심지어 에이즈 부정론이라든지 9/11 음모론에 대해서까지도 찬동했다는 (심지어 기념 문집에 유일하게 수록된 마굴리스 본인의 글 역시 일각의 9/11 음모론을 옹호하는 내용이다!) 것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기념 문집에 나온 또 다른 지인의 증언처럼 남성성과 여성성과 페미니즘을 죄다 싫어했고, 쿠바의 카스트로는 칭찬해도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은 싫어했으며, 웬델 베리의 강연을 듣다 자리를 박차고 나갔지만 결국 서로 친해졌다는 등의 종잡을 수 없는 행적을 보면, 그녀는 자유로운 영혼이 맞았던 것도 같다.
다만 만사를 편 가르는 데 익숙해진 지금의 관점에서 그녀의 행동은 마치 좌충우돌처럼, 또는 모두에게 미움받기로 작정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다. 마치 작은 개체가 큰 덩어리를 이루어 생존한다는 점에서 공생의 좋은 사례라며 그녀가 사망 직전까지 각별히 애호했다는 큰빗이끼벌레가 한때 모두의 미움을 받았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