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6월이면 서울국제도서전에 찾아가던 때도 있었는데, 생각해 보니 딱 10년 전인 2014년에 다녀온 이후로는 영 가지 않게 되고 말았다. 나귀님 기억으로는 90년대 초부터 다닌 것 같으니, 대략 20년 넘게 거의 매년 찾아가던 행사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외면하게 된 셈이다.


나귀님 같은 독자의 입장에서 도서전은 단지 책을 구경하고 싸게 구입하는 기회일 뿐만 아니라,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무료 배포하는 도서목록도 챙기고, 나아가 현장에 나와 있는 출판사 관계자에게 이런저런 궁금한 것들을 물어보고 답변을 얻을 수도 있었으니까.


그런데 마지막 몇 번은 참가하는 출판사 숫자도 크게 줄었고, 부스마다 판매며 이벤트에 열중하다 보니 정작 책에 대해 물어볼 기회도 없어지면서, 이제는 굳이 입장료까지 내 가면서 갈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이 굳어지게 되었고, 그러면서 결국 자연스레 발걸음이 끊어지게 된 듯하다.


해외에서 도서전이라 하면 근간 및 신간 도서를 소개하고 판권을 교섭하는 출판인들만의 행사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책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전시회로 시작했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그저 책을 전시하고 할인 판매하고 각종 이벤트까지 곁들이는 행사 정도로 인식된다.


그나마도 잘만 운영하면 나름대로 의미가 있겠지만, 매년 각종 논란이 곁들여지곤 해서 문제다. 지난번에는 이전 정부 블랙리스트 작성 관여 인사가 주최측에 포함되었다고 해서 논란이 있었고, 이번에는 행사 수익금 처리 문제며 과도하게 비싼 참가비 등으로 논란이 있는 모양이다.


이전부터 말이 많았던 도서전인데, 이번에는 정부와 대놓고 설전까지 벌이고 있으니, 이러다가는 머지않아 없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애초부터 성격이 애매한 행사였으니, 이번 기회에 차라리 싹 없애 버리고 대신 와우북처럼 책 할인 판매 행사를 벌이는 게 차라리 나을까.


그나저나 2024년 서울국제도서전의 주제는 무려 '후이늠'이라 하는데, 이건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나라에서 야만적인 인간 '야후'와 달리 이성을 갖춘 말들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도대체 왜 하필 '후이늠'일까 궁금해서 공식 홈페이지에 찾아가 보았더니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 2024 서울국제도서전 주제전시는 우리가 바라는 세상으로 가기 위한 지도를 그립니다. ‘후이늠’의 세계가 해법이 아니라면 어떤 방식으로 미래를 그려야 할지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막연한 낙관을 넘어서 기꺼이 환대할 현실을 모색합니다. 함께 '후이늠’을 키워드로 큐레이션된 400권의 도서를 통해 후이늠의 세계를 여행하면서 ‘세상의 비참’을 줄이고 ‘미래의 행복’을 사유하며 발견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



또 이런 설명도 있다.



>>> 심술, 둔감, 무지, 변덕, 호색, 오만, 고집, 무례, 비겁, 야비, 잔인, 사악, 거만, 비굴, 추악, 교활과 같은 말은 인간의 어두운 면을 묘사할 때 쓰는 말이다. 이런 어두운 면들은 인간이 자기만 더 먹고, 더 갖겠다는 욕망을 만들고 서로의 이해에 따라 편을 가른다. 침략, 약탈, 살인과 전쟁은 어둠의 가장 비참한 결과이다. 걸리버는 여행에서 이런 면이 전혀 없는 종족, '후이늠'을 만난다. 이성적, 상식적으로 완벽한 ‘후이늠’의 세상을 만들면, 우리는 전쟁을 그칠 수 있을까? 유능한 인공지능은 우리 미래에 ‘후이늠’이 되어 줄 것인가? ‘후이늠’의 세계가 해법이 아니라면 우리는 어떤 미래를 그려야 할까?


우리는 배려, 민감, 지혜, 믿음, 사랑, 유연, 예의, 용기, 격조, 품위, 인정, 겸손, 아름다움, 정직 같은 말들이 가득한 세상에서 살고 싶다. 2024 서울국제도서전은 독자들과 함께, 우리가 바라는 세상으로 가기 위한 지도를 그린다. 지난 300년간 지도를 그리기 위해서 길을 찾아 헤매었던 걸리버, 사람과 같은 법적 권리를 찾기 위해 노력 중인 제돌이와 함께 출발했다. 95년 만에 저작권의 굴레에서 벗어난 미키 마우스에게도 길을 청했는데, 여전히 상표권에 매여 있어 뒤에 숨어 함께 간다. 함께 나선 독자들과, 뒤에 숨어 따르는 모든 이들이 걸리버의 발자취를 따라, 후이늠의 세계를 여행하면서 ‘세계의 비참’을 줄이고 ‘미래의 행복’을 찾을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도서전 측의 설명만 보면 후이늠의 세계를 미래 사회의 한 가지 이상으로 삼겠다는 것 같은데, 하고많은 이상향의 사례 중에서 왜 하필 그것인지는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사실 풍자 문학인 <걸리버 여행기>에서 후이늠은 어디까지나 야후의 야만성을 드러내는 장치일 뿐이니까.


아울러 스위프트의 소설에서도 후이늠이 하나부터 열까지 이상적인 존재로만 묘사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걸리버는 인간 사회의 온갖 문제점을 열거하며 후이늠 사회의 미덕을 예찬하지만, 정작 거기도 주인과 하인의 신분 차별이 있고 야후를 천시하는 편견이 있다.


급기야 후이늠은 걸리버가 말하는 야후로서 이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가 다른 야만적인 야후 떼를 선동하여 사회에 위협이 될까 우려하여 축출하기까지 했으니, 제아무리 이성적인 말대가리라 하더라도 불안이나 공포 같은 비이성적인 감정까지 억누르지는 못했던 셈이다.


즉 후이늠의 세계라고 완전무결까지는 아니니, 어떤 면에서 이번 도서전의 주제 설정은 지나친 의미부여 같기도 하다. 물론 2023년과 2022년과 2021년의 주제가 각각 '비인간'과 '반걸음'과 '긋닛'이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이처럼 뜬금없어 보이는 전시 내용도 새로운 전통인가 싶다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