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전집 이야기를 하고 났더니 이번에는 문득 레닌 전집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해졌다. 아고라 출판사에서 2017년부터 간행하기 시작해서 총120권으로 간행할 예정이라고 선전하기에, 과연 그게 가능할까, 차라리 전기가오리의 스탠퍼드 철학 백과 완간이 더 빠르지 않을까, 뭐, 이런저런 생각을 해 보았는데, 8년째인 지금 와서 다시 살펴보니 2020년에 아홉 권까지 간행되고 사실상 중단된 것은 아닐까 싶다.


아고라의 레닌 전집이라면 맨 먼저 떠오르는 것은 특유의 작은 판형과 알록달록한 표지 디자인이다. 말이 좋아 전집이지 통일성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그 외양을 보면서, 이건 120권이 완간되어서 한데 꽂아 놓아도 진짜 정신 없어 보이겠다 싶었는데, 솔직히 말해서 디자인 쪽으로는 뭔가 좀 오판을 했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오죽하면 나귀님조차 헌책방에서 한 번 사고는 더 사고 싶지 않았을 정도니까.


마르크스 전집도 그렇지만, 레닌 전집도 지금 와서 꼭 필요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꼭 필요하다면 선집 정도가 어땠을까 싶은데 굳이 전집을 시도하다 중단되었으니 안타깝다. 예전에 나온 <레닌 저작선>은 역시나 소련 붕괴 이후 헌책방에서 먼지만 쌓여 가고 있기에 불량 식품 사먹는 심정으로 몇 권 사다 놓았는데, 아직 구입하지 못한 것이 있어서 지금 생각난 김에 검색해 보니 의외로 중고가가 많이 오른 듯하다.


스탈린 선집이며 모택동 선집도 나오다가 중단된 줄 알았더니, 지금 다시 검색해 보니 전자는 2권까지 나오고 후자는 4권까지 나왔다. 전기에 곁들여 읽으려고 구입한 것인데 막상 책을 사고 나니 관심이 시들어 버려서 그냥 차일피일하던 것이 십수 년째이다. 그러고 보니 트로츠키며 등소평이며 심지어 체게바라의 선집도 반짝 하고 나왔다가 사라졌던 모양인데, 또다시 십수 년이 흐르면 유행이 돌아올지도 모르겠다.


그 사이에 요즘 다시 책을 모으고 있는 소련 작가는 철이 지나도 한참 지난 듯한 막심 고리키이다. 원래는 체홉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읽던 단첸코의 회고록에서 (번역은 정말 엉망, 엉망, 엉망이었지만!) 유난히 고리키가 흥미로운 인물처럼 묘사되기에 그의 희곡부터 시작해서 에세이를 다시 살펴보고 있는데, 시기상으로 레닌이며 스탈린과도 겹치는 인물이니 이래저래 또다시 빨긋빨긋한 책들을 뒤적이게 될 것 같다.


사실 마르크스며 레닌이며 기타 온갖 빨갱이들의 책에 대해서 나귀님이 가진 관심이라곤 선집이나 전집 같은 세트 자체에 대한 흥미 이상이라고는 할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가끔은 세트에 포함되기 때문에 억지로 구입한 책 중에서도 의외로 결국 읽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가장 최근의 경우에는 이번 의사 파업을 계기로 읽은 <플렉스너 보고서>가 있었다) 굳이 말하자면 충동 구매의 희박한 장점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