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중에 <스탈린의 서재>라는 것이 눈에 띄기에 눌러 보니 제목 그대로 저 악명 높은 소련 독재자의 독서 생활에 관한 책인 모양이다. 문득 히틀러와 마오쩌둥에 대해서도 비슷한 책이 나오지 않았었나 싶어 검색해 보니, 아닌 게 아니라 <히틀러의 비밀 서재>와 <마오의 독서 생활>이라는 책이 각각 간행되었다가 지금은 모두 절판된 모양이다.


세 명 모두 역사에 부정적인 족적을 크게 남긴 사람들이다 보니, 독서라는 외관상 무해하고 종종 바람직한 행동과 연관지어 생각하기가 쉽지 않을 법도 하다. 십중팔구 그렇게 어마어마한 범죄와 실책으로 큰 후유증을 남긴 사람들의 인물됨을 이해하려는 다각도의 노력 가운데 하나로써 평소의 독서 습관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 


전하는 바에 따르면 스탈린은 2만 5천 권, 히틀러는 1만 6천 권에 달하는 장서를 수집했고, 마오쩌둥도 도서관 사서로 경력을 시작해서 말년까지도 독서를 즐겼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세 명 모두 만만찮은 독서 이력을 소유하지 않았을까 짐작할 만하다. 다만 현재 세 명 모두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만 놓고 보면, 과연 책이 무슨 소용인가 싶기도 하다.


이건 사실 오늘날의 우리나라 정치만 살펴보아도 알 수 있는데, 명목상으로는 이 나라에서 제일 똑똑하고 제일 많이 공부한 사람들이 모여 있다는 대통령실이고 국회고 법원이고 검찰이고 정부종합청사고 기타 각종 기관에서는 수시로 실책이며 억지며 궤변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책으로 상징되는 상식과 지식이 무슨 소용인가 싶다.


정치인이다 하면 최소한 <군주론>이나, 하다못해 <삼국지>는 한 번쯤 읽어보았음직 한데, 지난 정부나 현 정부에서나 그런 필독서에 나온 지혜나 조언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의아한 일이었다. 예를 들어 <삼국지>에는 유명한 "읍참마속"의 일화가 나오고, <군주론> 서두에도 신하를 희생양 삼아 백성의 환심을 사라고 나왔는데 말이다.


어쩌면 책과 현실의 괴리야말로, 이론과 실천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 터이니, 이런 점에서 보자면 역사상 최악의 독재자 3인의 삶을 이들의 독서 습관에서 찾으려는 시도 자체도 딱히 의미까지는 없을 수 있다. 제아무리 훌륭한 조언과 지혜를 수없이 이론으로 접했더라도, 정작 이들의 결정과 실천은 수백수천만 인류의 불행을 야기하고 말았으니까.


<전쟁터로 간 책들>에 나오듯, 히틀러에 맞서 싸운 미군 병사들도 진중문고를 통해 독서를 즐겼지만, 어떤 전투나 작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영화나 노래처럼 팍팍한 삶에서 위로와 재미를 얻기 위해서였다. 쉽게 말해 현직 대통령이 아무리 책이며 영화나 노래를 많이 접해도, 정작 미쳐 돌아가는 사과며 대파 가격에는 별 영향이 없을 수 있다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