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product/32974/95/coveroff/k592936558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327/88/coveroff/899363574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8800/20/coveroff/8950966735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476/69/coveroff/896086210x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02/3/coveroff/8959090328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0882/85/coveroff/8950969718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01/18/coveroff/8950938855_1.jpg)
지난 주 내내 알라딘에 들어올 때마다 검색창에 "지루한 건 유죄!"라는 광고 문구가 뜨기에 도대체 뭔가 싶어 눌러 보니 <지루하면 죽는다>라는 책이었다. 그런데 저자 이름이 좀 낯익은 듯해서 기억을 더듬어 보니, 이거, 염소 야려 죽이기 책을 썼던 양반 강연에서 인터넷 조리돌림의 사례로 거론되었던 바로 그 사람 아닌가 싶었다.
검색해 보니, 아닌 게 아니라, <염소를 노려보는 사람들>의 저자 존 론슨이 TED 강연 "트윗 하나가 당신의 삶을 망칠 수 있다"(How one tweet can ruin your life)에서 그 제목이 가리키는 현실의 실제 사례 가운데 하나로서 맨 처음에 들었던 것이 바로 조나 레러의 표절/위조 사건이었다.(유튜브에서 자막까지 곁들여 볼 수 있다).
조나 레러는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된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와 <탁월한 결정의 비밀>을 비롯해서 뇌과학에 대한 대중서를 여러 권 내놓아 명성을 얻은 저자/언론인이었는데, 나중에 가서는 자기 표절은 물론이고 인용문 날조도 여러 건 범했고, 이를 무마하려 거짓말까지 동원했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크게 망신과 비판을 당했다.
급기야 한 언론 재단의 행사에서 공식 사과문 발표 자리를 가졌는데, 이때 무대에 오른 그의 모습을 인터넷 생중계하고 트위터 반응을 무대 한쪽에 마련된 스크린에 띄워서 참석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만든 것을 가지고 뒷말이 많았던 모양이다. 당연히 트위터에는 그를 철저히 조롱하고 비난하는 글이 무수하게 올라왔다.
존 론슨은 이 사건을 가리켜 "트위터의 아름다운 순진함이 소름끼치는 현실과 맞닥트린 순간"이었다고 지적하며, 잘못을 시인하는 사람을 걷어차는 격이 되었으니 지나치게 가혹한 일이었다고 비판한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레러가 무려 강연료까지 받아서 작성해 내놓은 사과문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타당한 반박도 없진 않았다.
무려 10년이 지난 일이니 그의 신작에 대해 대뜸 야박한 평가부터 내놓을 필요까진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때 잘못된 행동으로 인터넷 조리돌림의 사례로까지 거론될 만큼 "원치 않은 주목"을 받았던 그가 새로 내놓은 책의 주제가 블로그, SNS, 유튜브에서 "주목받는 법"이라는 점이 내겐 뭔가 아이러니해 보여서 해 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