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헌트의 <무엇이 역사인가>를 완독했다. 저자는 이 분야의 원로라고 알고 있는데 트럼프 시대를 맞아 역사와 거짓말에 관한 설명으로 시작한 이 개론서는 아쉽게도 저자의 명성에 버금갈 만한 통찰까지는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것 같다. 보통 원로 학자가 말년에 개론서를 쓰면 내용은 두말할 것 없고 몇 가지 일화만 가지고도 충분히 깊은 인상을 줄 만하다고 생각하는데, 너무 기대가 컸던 까닭인지 적어도 이 책에서는 그런 것을 찾기 힘들었다.


그 만만찮은 가격에 비하자면 책의 내용도, 분량도, 심지어 편집도 영 충실하지는 않고 문자 그대로 얄팍했다고나 할까. 쓸데 없이 병기한 영어 단어는 종종 철자가 틀려먹었고,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을 혼동하는가 하면 6년과 60년을 혼동하기도 했다. 이쯤 되면 13,000원이라는 정가도 알고 보니 1,300원을 잘못 적은 것이었을 수 있겠는데, 지금의 꼬락서니를 보자면 그조차도 너무 비싼 것이 아니냐는 볼멘 소리가 나올 법해 보인다.



[*] 무슨 책이 나와 있나 보니 <인권의 발명> 빼고는 다 갖고 있는 셈인 것 같은데, 실제로 읽은 책은 <문화로 본 새로운 역사>와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뿐인 것도 같다.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는 예전에 누가 바깥양반 통해서 빌려달라고 청해서 빌려줬던 것도 같은데 돌아왔는지 어쨌는지 모르겠다. 책이 많아서 그런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 이제는 있는 책도 없는 줄 알고, 없는 책도 있는 줄 알고, 완전히 뒤죽박죽이다. 아니, <포르노그라피의 발명>이 아니라 <피임의 역사>였나? 아몰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