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또 아는 척 하고 나서 알라딘을 휘적휘적 돌아다니다 보니, 이번에는 윌리엄 블래티의 <엑소시스트>가 새로운 번역본으로 간행되었다고 해서 또 깜짝 놀랐다. 예전에 범우사에서 <무당>으로 나왔다가 나중에 <엑소시스트>로 제목을 바꾸어 다시 나왔었는데, 저자명으로 검색해 보니 구판 정보도 아직 알라딘에 남아 있다.


공포영화 쪽에서는 워낙 유명한 작품이고 음악도 유명한데, 그렇잖아도 그저께였나 라디오에서 "문라잇 섀도"라는 노래가 나오기에 이게 마이크 올드필드의 노래였지 싶어서 결국 유튜브로 "튜블라벨스"까지 한 번 틀어보고 나서야 끝을 맺었다. 버진 회장 자서전을 보면 이 음반으로 처음 대박을 터트렸다는 증언도 나와 있다.


<엑소시스트> 이야기가 나왔으니 생각이 났는데, 여기서 악귀와 싸우는 젊은 신부로 나온 제이슨 밀러는 원래 배우가 아니라 극작가였다. 그것도 대표작 <아, 우리가 챔피언 먹었던 그해>로 1973년 희곡 부문 퓰리처상까지 수상한 진짜배기 극작가이다.(이 작품은 현대미학사의 희곡 선집 <마로윗츠 햄릿>에 수록되어 있다). 


물론 나도 그렇다는 사실을 알게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는데, 오래 전에 구입해서 한동안 방치하던 책 가운데 하나인 <아직도 책을 읽는 멸종 직전의 지구인을 위한 단 한 권의 책>이라는 괴이한 제목을 가진 책 잡담 책을 뒤적이다가 제이슨 밀러의 특이한 이력을 (아울러 고향 동네 이야기를) 발견하고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밀러의 희곡은 과거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고등학교 농구부의 주전 선수들이 이제 중년이 되어 다시 모이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제는 노인이 된 당시의 코치까지 모셔 놓고 서로의 근황을 묻는 훈훈한 분위기로 시작되지만 이내 서로의 갈등과 불만과 문제가 부각되면서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되고 과거의 오점까지 들먹여진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곪아 터지기 직전의 보잘것 없는 삶을 살아가며 과거의 영광을, 그것도 정당하게 얻었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는 영광을 되뇌는 그들의 모습은 경멸과 동정을 한꺼번에 불러 일으키며, 코치의 주도하에 "우리가 남이가!"로 다시 한 번 갈등을 무마하는 마무리에 가서는 씁쓸한 여운을 남겨준다.


지금 다시 살펴보니 1982년과 1999년에 두 번이나 영화화도 되었던 모양인데 전혀 모르고 있었다. 1982년 작의 출연자 명단을 보니 브루스 던, 마틴 신, 폴 소르비노처럼 이제는 그 자녀가 우리에게 더 친숙한 배우들이니 새삼스레 세월을 실감하게 된다. 아쉽게도 이후 영화 출연이 많아지며 밀러의 희곡 창작은 급감한 모양이다.


그나저나 뜬금없이 지금 와서 왜 <엑소시스트>인가 했더니만, 역시나 리메이크판 영화인지 시리즈인지가 제작되는 모양이다. 최근 들어서는 이런 식의 리메이크가 하도 많아지고 빨라져서 어떤 작품이 어떤 작품인지 모를 지경이다. 문제는 리메이크가 뛰어난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원작이나 최초 각색에 먹칠도 종종 한다는 것이다.


최근 <인어공주> 실사판의 경우처럼 어설픈 리메이크와 정치적 공정성 도입은 오히려 반발을 불러오는 부작용이 있으니, 나귀님처럼 제법 나이 많은 올드 팬들로서는 우후죽순 식의 리메이크 바람이 도무지 반가울 리가 없는 실정이다. 새로 나온다는 <엑소시스트> 소식에 기대보다는 불안을 먼저 느끼게 되는 것도 그래서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