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애 선생의 <그림 동화> 번역본이 새로 나왔다는 것 자체는 반가운 소식이나, 책소개 글에서 하버드 클래식스 선정 도서 운운 하는 대목을 접하니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다. 그림 형제의 저 민담집이야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고전 중의 고전인데 왜 지금 와서 굳이 하버드 간판을 들먹이는지 이해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식의 간판 내세우기는 아동서의 각종 수상 내역으로부터 시작해서 최근 수년간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무려 <그림 동화>에 대해서까지 이렇게 말하는 것은 뭔가 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든다. 하버드 선정 고전 여부가 그토록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라면, 서울대 선정 고전 가운데 하버드에서 외면한 것들은 가치가 떨어지는 셈일까?


노벨문학상이며 퓰리처상 같은 것이야 그나마 알려진 편이지만 기타 문학상 중에는 그런 게 있었나 싶었을 정도로 영 생소한 인물이며 사안을 기념하는 것도 많으니, 결국 사람들이 잘 알지도 못하고 가끔은 출판사에서도 잘 모르는 듯 오타까지 내곤 하는 각종 수상 실적을 굳이 갖다 붙이는 것도 결국 속물 근성의 소산은 아닐까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된다.


여하간 지금 같은 분위기라면 오래 전에 이데아총서 중 한 권으로 시작했다가 야금야금 전집의 꼴을 갖춰 가던 도중에 기약 없이 멈춰 버린 어느 작가의 작품이 속간될 때에도 "해리 포터 시리즈의 영화판에서 질데로이 록하트를 연기한 배우가 감독하고 시빌 트릴로니를 연기한 배우가 주연한 고전 영화의 원작" 운운하는 문구가 등장하진 않을까 싶기도 하고...



[*] 생각해 보니 집에 이미 갖고 있는 <그림 동화>만 해도 여러 권이다. 예전 을유문화사의 김창활 완역본부터 시작해서 김열규 완역본의 분권(전2권)과 합본이며 한길사 김경연 세트(전10권), 거기다가 삽화가 마음에 들어서 샀던 비룡소의 세 권짜리 선집과 문지의 대형판과 길벗어린이의 초대형판, 그 정반대에 해당하는 현대지성사의 이솝/그림/안데르센 미니북까지 있으니까. 지난번 구미 친모/외조모 미스터리 소식을 접하며 체인질링 전설을 읽어보려고 꺼냈던 <독일 전설> 완역본과 그 선집도 있고, 그림 형제/동화에 대한 연구서도 한두 권쯤 있는 것 같다. 기억을 더듬어 보니 꽤 오래 전에 구입한 영역본도 어딘가 파묻혀 있을 것 같은데... (그러고 보니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트루데 부인>도 있었지...)


[**] 아니, 그나저나 선생님, 지금 괴테 전집을 서둘러 완간하셔야 할 참인데, 어째서 그림 동화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